송파 세 모녀 11주기 추모제
전국장애인부모연대 등 "가난한 이들의 생존권 보장하라"

[뉴스클레임]
생활고에 시달리던 일가족 3명이 스스로 목숨을 끊은 송파 세 모녀 사건 11주기를 맞은 가운데, 추모 행사가 열렸다.
기초법바로세우기공동행동, 조계종사회노동위원회, 장애인과가난한이들의3대적폐폐지공동행동 전국장애인부모연대 등은 25일 국회 앞 전국장애인부모연대농성장에서 '송파 세 모녀 11주기 추모제'를 열고 빈곤과 차별 없는 세상을 염원하며 이윤이 아닌 사람과 생명을 우선하는 사회로의 변화를 요구했다.
송파 세 모녀 사건 2014년 2월 서울 송파구 반지하 월세방에 거주하던 세 모녀가 생활고에 시달리다 집안에서 극단적 선택을 한 사건이다. 당시 세 모녀는 마지막 집세와 공과금 70만원, ‘죄송하다’는 내용의 유서를 남기고 세상을 떠났다.
이들은 "송파 세 모녀의 죽음으로부터 11년이 지났지만 빈곤층의 죽음은 끊이지 않고 있다. 당시 송파 세 모녀가 복지제도를 이용하기 위해 주민센터를 찾았다는 사실이 드러났음에도 '있는 제도도 활용하지 못해서' 발생했다는 잘못된 진단으로부터 발굴 중심의 복지가 반복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또 "송파 세 모녀의 죽음에는 다양한 사회정책이 부재하거나 작동하지 않았음이 드러난다"며 "빈곤은 노동권, 주거권, 건강권이 보장되지 않는 사회에서 누구에게나 닥칠 수 있는 위험이다. 빈곤층의 죽음을 멈추기 위해선 복지정책과 함께 노동과 주거, 사회서비스와 의료와 같은 사회정책의 전반적인 변화가 동반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우리가 마주하고 있는 빈곤과 불평등은 성장 과정에서 배제된 이들에게 발생한 우연이 아니라 성장의 땔감으로 사용되기 위해 빼앗긴 가난하거나 장애가 있고 평범한 사람들 권리의 총합이다"라며 "송파 세 모녀 11주기 추모제를 맞아 빈곤과 차별로 인해 돌아가신 모든 이들을 추모하며, 사람과 생명을 우선하는 사회로의 변화를 요구한다"고 말했다.
이날 발언에 나선 은희주 홈리스야학 학생회장은 "송파 세 모녀의 죽음은 단순히 비극이 아니라 우리 사회가 가난한 이들에게 얼마나 가혹한 지를 드러내는 사건이었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고 했다.
그는 "이 자리에서 묻는다. 11년이 지난 지금, 과연 무엇이 달라졌나. 여전히 가난한 사람들을 제도라는 장벽 앞에서 외면당한 채 버티다 결국 생을 포기하는 상황에 내몰리고 있다"며 "기초생활보장제도는 보편적 권리가 돼야 한다. 사람이 사람답게 살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국가의 역할이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송파 세 모녀의 삶이, 그들의 죽음이 헛되지 않도록 우리는 계속해서 싸워야 한다. 가난은 죄송할 일이 아니다. 가난한 이들의 생존권을 보장하라"고 촉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