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클레임]
삼양식품이 전 세계 라면시장 공략을 위한 국내 핵심 인프라를 완성했습니다.
삼양식품은 경남 밀양시 부북면 나노융합국가산업단지에서 ‘밀양 제2공장 준공식’을 열고, 본격적인 가동에 돌입했다고 11일 밝혔습니다. 밀양 제2공장은 2022년 5월 완공한 밀양 제1공장과 함께 생산물량 전체를 수출하는 해외 시장 공략의 플랫폼으로 역할합니다.
준공식에는 김동찬 삼양식품 대표이사, 장석훈 삼양라운드스퀘어 대표이사, 강형석 농림축산식품부 농업혁신정책실장, 김명주 경남도 경제부지사, 안병구 밀양시장, 허홍 밀양시의장, 임직원 등 300여 명이 참석했습니다.
밀양 제2공장은 2024년 3월, 첫 삽을 뜬 후 약 15개월만에 완공됐습니다. 건축면적 4800평, 지하 1층~지상 3층, 연면적 1만평 규모로, 생산제조 시설 중심으로 구성했습니다.
RSPO(지속가능한 팜유협의체), Halal 등 글로벌 품질인증을 기반으로 구축된 제조공정은 QMS(품질 관리 시스템)와 연동해 전(全) 공정의 품질 지표를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어 작은 위해요소도 사전 대비가 가능합니다.
탄소저감 사업의 일환으로 친환경 에너지 사용을 확대했습니다. 밀양 제2공장의 태양광 발전시설 용량은 750KW로, 밀양 제1공장의 443KW를 포함하면 총 1.2MW의 태양광 발전설비를 구축했습니다. 이로 인해 연간 1530MW의 친환경 에너지 사용이 가능해 ESG경영에도 기여할 전망입니다.
아울러 자동화 물류창고를 구축했고, 자율주행 물류로봇(AMR)을 도입해 밀양 1~2공장 간 물류 연계 프로세스를 최적화했습니다.
봉지면 3라인, 용기면 3라인 등 6개의 생산라인을 갖춘 밀양 제2공장이 본격 가동하면 연간 8.3억개에 달하는 생산 능력을 갖추게 됩니다. 이에 따라 삼양식품의 연간 최대 불닭면류 생산량은 기존 20.8억개(원주, 익산, 밀양 1공장)에서 약 28억개로 늘어납니다.
밀양 제2공장 구축은 3가지 측면에서 의의를 지닙니다. 우선 글로벌 수출 대응력을 강화한다는 의미가 있습니다. 이는 미국을 비롯한 미주 시장과 유럽 등의 급증하는 수요, 새로운 트렌드에 민첩하게 대응해 전 세계 소비자들의 변화하는 식문화를 선도하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습니다.
또한 스마트 팩토리 허브 기지로서 역할합니다. 밀양 제1공장보다 진화한 수준의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을 도입해 품질 관리와 생산 효율의 완결을 실현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밀양 제2공장을 생산 기술의 ‘마더 플랜트(Mother plant)’로 육성하고, 원주, 익산 등 국내 기존 공장은 물론 향후 구축될 해외 생산거점에도 글로벌 최고 수준의 생산혁신 기술을 수평 전개한다는 계획입니다.
밀양 제2공장은 지역경제 활성화와 산업 발전 기여 측면에서도 의미를 지닙니다. 신규 일자리 창출은 물론, 지역 협력업체 및 공급망과의 연계 강화로 지역 내 산업 생태계에도 긍정적인 파급효과를 불러올 것으로 삼양식품은 예상하고 있습니다.
삼양식품은 밀양 제2공장 준공을 계기로 양적 성장과 함께 질적 성장에도 더욱 집중하기로 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