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노총 등 "정액급식비·초과근무수당 인상하라"
"새 정부, 공공부문 예산 확대해야"

19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열린 '2026년도 공무원 임금 6.6% 인상 요구 기자회견'. 사진=공노총
19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열린 '2026년도 공무원 임금 6.6% 인상 요구 기자회견'. 사진=공노총

[뉴스클레임]

대한민국공무원노동조합총연맹(이하 공노총)과 공무원·교원 생존권 쟁취 공동투쟁위원회(이하 공투위)가 내년도 공무원 임금 6.6% 인상을 요구하고 나섰다. 

공노총, 공투위는 19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내년도 공무원 임금 6.6% 인상을 비롯해 초과근무수당 단가, 정액급식비 등 각종 수당 인상을 요구했다.

이들은 "20만 공무원·교원들의 생존권 보장이라는 절박한 마음으로 이 자리에 섰다"며 "우리는 코로나 이후 수년째 고물가, 고금리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그런데 공무원 임금은 100인 이상 민간사업장 대비 2023년 기준 83.1%까지 하락해 역대 최대로 격차가 벌어졌다"고 주장했다. 

실제 한국행정연구원의 지난해 공직생활실태조사에 따르면 공무원의 직무만족도는 하락하고, 이직 의향은 지속해서 상승하고 있다. 이직 의향의 이유 1순위로 재직기간 5년 이하 공무원의 72%, 6~10년 재직한 공무원의 75%가 낮은 보수라고 답했다. 

공노총 등은 "2026년 공무원 임금 6.6% 인상과 공무원 임금이 100인 이상 민간사업장 대비 100%에 도달하도록 5개년 계획을 수립해 집행할 것을 요구한다. 또 기본급 인상과 함께 공무원·교사 하위직 처우개선을 위하여 정액급식비 3만원 인상, 6급 이하 직급보조비 3만5000원 인상, 교사 직급보조비 신설, 초과근무수당 단가 감액률 인상, 명절휴가비·정근수당 인상을 요구한다"고 밝혔다.

특히 "초과근무수당 단가의 감액조정률을 55%에서 60%로 인상할 것을 요구한다"면서 "공무원의 초과근무수당 단가는 근로기준법의 40% 수준이며, 1일 1시간 공제, 야간·주말 수당 미지급 등 수 많은 제한과 차별을 받고 있다.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해 반드시 시정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석현정 위원장은 "새 정부가 격랑을 해치며 앞으로 나갈 추진력을 얻고, 위기 대응 능력을 높여 진짜 대한민국을 만들고자 한다면 정부의 파트너인 공무원 노동자의 처우개선에 즉각 나서야 한다"고 발언했다.

기자회견을 마친 공노총은 공무원보수위에 맞춰 공무원 임금 6.6% 인상 관철과 공무원 생존권 보장 쟁취를 위해 릴레이 집회를 이어갈 예정이다.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