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정부의 KT사장 인사 개입 논란
경영공백 사태 특검 고발
"정치권 '낙하산 인사' 관행 근절해야"

2일 오전 서울 광화문 KT빌딩 앞에서 진행된 '윤석열 정권의 KT 불법 경영개입 및 경영공백 사태 특검 고발 기자회견'. 사진=공공운수노조
2일 오전 서울 광화문 KT빌딩 앞에서 진행된 '윤석열 정권의 KT 불법 경영개입 및 경영공백 사태 특검 고발 기자회견'. 사진=공공운수노조

[뉴스클레임]

윤석열 정부가 KT의 대표이사 선임 과정에 부당하게 개입해 경영 공백과 통신 공공성 훼손을 초래했다는 의혹이 불거졌다. 공공운수노조 방송통신협의회, KT새노조 등은 관련 의혹에 대해 김건희 특검의 수사를 촉구했다.

공공운수노조 방송통신협의회, KT새노조, KT민주동지회, 민생경제연구소, 서민중산층 경제살리기연대, 윤석열 김건희 일가 온갖 비리 진상규명 모임 등은 2일 서울 광화문 KT빌딩 East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윤석열 정부의 부당한 외압으로 촉발된 KT 경영 경백 사태의 진상을 규명하고, 김건희 특검의 철저한 수사를 촉구한다"고 밝혔다.

방송통신협의회 등은 "KT는 과거 국영기업이었으나 현재 정부 지분이 전혀 없는 완전한 민영화된 기업이다. 그러나 정부가 사장 선임 과정에 개입한 정황이 여러 차례 포착됐다"고 주장했다.

또 "지난 2023년 KT 이사회는 구현모 당시 대표이사의 연임을 적격·확정했지만, 정치자금법 위반과 횡령 의혹, 시민사회의 반발로 국민연금이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 구현모 사장은 자진사퇴했다. 이후 이사회가 새 사장 선임에 착수했으나 집권 여당 출신과 대통령실 ‘용산 라인’과 관련된 낙하산 인사들이 후보군에 거론되면서 외압설이 급속히 퍼졌다"고 설명했다. 

특히 이사회가 만장일치로 차기 사장으로 내정한 윤경림 후보가 임명 20일 만에 돌연 사퇴하면서 경영 공백이 본격화됐다. 

이들은 "혼란이 이어지는 가운데, 1인을 제외하고 사외이사 전원이 일괄 사퇴하면서 KT는 대표이사뿐만 아니라 이사회의 기능마저 마비된 초유의 사태를 맞이했다. 경영 공백은 5개월 가까이 지속됐고, 이 시점에 맞춰 검찰은 '이권 카르텔' 수사를 본격화하며 KT 경영진에 대한 압박을 강화했다"고 밝혔다.

이어 "사장 공모 당시 지원하지 않았던 김영섭 현 사장이 등장했다. 이후 KT에는 검사 출신, 정치권 인사 등 이른바 ‘낙하산 인사’들이 줄줄이 내려오며, KT가 현 정권의 전리품이 됐다는 비판이 거세졌다"고 말했다.

이들은 "이 사태는 정부의 사기업 인사 개입과 통신 공공성 훼손이라는 중대한 헌정질서의 침해"라며 ▲윤석열 정부의 KT 사장 인사 개입과 경영 공백의 실체를 규명 ▲KT 이노텍 사모펀드 자금 유출, ‘밀리의 서재’ 특혜 의혹 등 불법행위 여부를 철저히 수사 ▲공기업과 유사한 공공성을 가진 통신기업에 대한 정치적 낙하산 관행을 근절하기 위한 제도적 대책을 마련 등을 요구했다. 

공공운수노조 방송통신협의회 등은 향후 국회 청문회와 추가 고발 등 법적·사회적 대응을 이어가겠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