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서울시 성교육 정책 퇴행 반대"
'특정 가치관 강요' 편향된 콘텐츠 유입 차단 등 요구

24일 오전 서울시청 정문 앞에서 열린 '서울시 성교육 정책 퇴행 반대 기자회견'. 사진=한국여성민우회
24일 오전 서울시청 정문 앞에서 열린 '서울시 성교육 정책 퇴행 반대 기자회견'. 사진=한국여성민우회

[뉴스클레임]

청소년들의 다양한 '존재'와 '다양성'을 지우는 청소년성문화센터 운영 매뉴얼에 시민사회단체가 강력 반발하고 있다. 

포괄적성교육권리보장을 위한 네트워크(이하 네트워크)는 24일 오전 서울시청 정문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지난 6월 서울시가 개정한 청소년성문화센터 운영 매뉴얼은 교육의 공공성과 청소년의 권리를 심각하게 훼손하는 퇴행적 조치"라며 매뉴얼 개정을 즉각 철회할 것을 요구했다. 

서울시는 이번 조치가 교육부 고시에 따른 것이라고 해명했다. 하지만 교육부 지침은 ‘최소 기준’일 뿐이며, 지방정부는 지역 청소년의 현실과 필요에 맞는 교육 정책을 수립할 책무가 있다는 것이 비판 측의 지적이다. 네트워크는 "서울시가 해야 할 일은 성교육을 후퇴시키는 것이 아니라, 성착취와 젠더폭력으로부터 청소년을 보호하는 성평등 교육을 강화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네크워크는 "지난 8일부터 22일까지 진행된 연서명 캠페인에는 청소년, 시민, 교사, 양육자, 성교육 활동가 등 1189명의 개인과 142개 단체가 참여했다. 이는 청소년의 성적 권리와 교육의 공공성을 지키기 위한 절박한 외침이며, 서울시에 보내는 강력한 경고"라고 말했다.

또 "성교육은 과학성과 인권, 객관성을 바탕으로 구성돼야 한다. 서울시가 정치적, 종교적 편향을 방치하거나 묵인한다면, 청소년의 인권과 다양성은 뿌리째 흔들릴 것"이라며 서울시는 공적 책임의 무게를 직시하고 이러한 일이 벌어지지 않도록 그 역할을 다해야 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와 함께 서울시에 ▲성교육 현장에 리박스쿨 등 특정 가치관을 강요하는 편향된 콘텐츠 유입 차단 ▲성교육 정책과 운영 과정에서 정치적·종교적 영향력 배제, 과학과 인권에 기반한 성교육 보장 ▲서울시청소년성문화센터 위탁 과정을 투명하게 운영하고, 공정성을 보장 등을 요구했다.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