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진위, 한미연합군사훈련 중단 촉구
"쪼개기 훈련 아닌 완전한 중단이 평화 첫걸음"

광복 80년 평화·주권·역사정의 실현 8·15범시민대회 추진위원회가 11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한미연합군사훈련을 완전 중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사진=자주통일평화연대
광복 80년 평화·주권·역사정의 실현 8·15범시민대회 추진위원회가 11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한미연합군사훈련을 완전 중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사진=자주통일평화연대

[뉴스클레임]

오는 18일부터 28일까지 한미연합군사연습 ‘을지 자유의 방패’(을지프리덤실드, UFS)를 개최되는 가운데, 시민단체가 "쪼개기 훈련은 기만이다. 한미연합군사연습 을지프리덤 실드를 완전하게 중단하여 평화의 첫발을 내딛어야 한다"고 목소리를 냈다.

광복 80년 평화·주권·역사정의 실현 8·15범시민대회 추진위원회(이하 추진위)는 11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규모 전쟁연습을 지속하는 한, 평화의 문은 열리지 않는다. 이재명 정부는 한미연합군사연습 을지프리덤실드 완전 중단을 결단해 평화의 발걸음을 시작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한미연합군사연습 완전 중단 ▲대결과 적대 대신 대화와 평화 선택 ▲광복 80년을 평화실현의 원년으로 만들 것을 요구했다.

추진위는 한미 군 당국이 UFS를 ‘연례적인 방어연습’이라고 주장하지만 이는 사실과 다르다고 반박했다. 이들은 “UFS는 선제공격, 참수작전, 점령 및 안정화를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며 “올해 3월 프리덤실드 연습부터는 북한 핵 시설 사전 타격을 포함한 새 작전계획과 한미 핵·재래식 통합훈련까지 반영돼 공격성과 적대성이 강화됐다”고 밝혔다.

정부가 당초 계획된 40여 건의 야외기동훈련 중 20여 건을 9월로 연기했지만, 주요 시나리오와 연계된 훈련과 미군 병력·장비 전개, 지휘소연습(CPX)은 정상적으로 진행되는 점도 문제로 지적했다. 이들은 “시기를 나눠 진행한다고 위험성이 줄어드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한반도의 긴장을 장기간 지속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고 했다.

이번 훈련에는 ‘유엔사’ 회원국 병력도 참여할 예정이어서, 추진위는 이를 “정전협정 관리 기구의 전투기능 부활과 한반도 문제에 대한 외세 개입 보장”이라고 비판했다.

또 국방부 자료를 인용해 한미연합군사훈련 횟수가 2017년 117회에서 2024년 340여 회로 급증했다고 지적하며, 2018년 남북·북미 정상회담의 군사훈련 중단 합의가 이행되지 않은 채 군사적 긴장이 최고조에 달했다고 주장했다.

추진위는 이재명 정부의 대북방송 중단, 확성기 철거 등 유화 조치에도 불구하고, 한미일 공중훈련, 해병대 상륙훈련, 실사격 훈련 등이 계속됐다는 점도 언급했다. 

이들은 “새 정부가 전임 정부의 대결·전쟁 노선에서 결별하지 않는다면 평화의 길로 나아갈 수 없다”며 "이재명 정부는 한미연합군사연습 을지프리덤실드 완전 중단을 결단해 평화의 발걸음을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