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용번호 ‘3617’과 ‘4398’…특검 재계 ‘수사도 속도

윤석열 전 대통령과 김건희씨가 각각 서울구치소와 서울남부구치소에 수감됐다. 권력 핵심을 둘러싼 사법 정국은 그 어느 때보다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14일 특검에 따르면 김씨는 다음날 15일 출석해 직접 조사를 받기로 했고, 구속적부심은 청구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특검은 로비·특혜·관저공사 등 여러 갈래의 의혹을 교차 검증하는 데 속도를 내고 있으며, 김씨 조사에서는 고가 사치품 수수 여부, 정부·공공 일감과의 연계성, 제3자 대가성 인정 가능성이 핵심 쟁점이 될 전망이다.
재계에선 서희건설 이봉관 회장이 자수했다.
이봉관은 목걸이뿐 아니라 브로치·귀걸이 등 총액 1억 원 이상의 귀금속을 제공했다고 털어놨다. 법조계에선 “이미 구매·전달 정황이 특정된 상황에서, 뇌물 프레임을 피하고자 ‘알선수재’ 가능성에 무게를 둔 방어 전략”이라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공무원이 금품을 받으면 뇌물이지만, 공무원 신분이 아닌 자가 영향력을 매개로 금품을 수수하면 알선수재가 성립할 수 있고, 이 경우 ‘준 사람’의 처벌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낮아진다. 이 회장이 거물 전관 변호사를 선임했다는 관측과 함께, 변호인단의 ‘조기 자수·진술 협조’ 권유가 작동했을 것이란 관측이 설득력을 얻는다.
정치권에선 “대통령 부인에 베팅했다가, 회사와 집안을 지키려 투항한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사건이 확대될 경우, 유사한 접촉·증여·편의 제공 사례가 줄줄이 불거질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특검이 자금 흐름·물품 구매·전달 동선·통화기록 등을 입체적으로 대조하면, ‘단발성 선물’인지 ‘관계 관리성 제공’인지를 가르는 분수령이 될 가능성이 높다.
현재 특검은 김건희씨 관련, 핵심 진술과 물증을 교차 검증 중이다. 내일 조사는 대면 대질 가능성까지 포함해 모든 선택지를 열어두고 있다. 구속적부심 포기 여부와 무관하게, 증거인멸·도주 우려 판단은 법과 원칙대로 진행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