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안전’은 더는 비용이 아닌 기업 생존 전략
-현대건설 업계 최고 수준 안전 예산 집행, 디지털 기반 실질적 안전관리, ESG(환경·사회·지배구조)연계된 경영혁신

[뉴스클레임]
건설현장 안전과 ESG(환경·사회·지배구조)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닌 생존의 기준이 되고 있습니다. 사고와 경영 리스크, 그리고 사회적 책임 논란이 이어지는 현 시점에서, 주요 건설사들의 투명한 변화와 남은 과제를 종합적으로 비추어 보는 것은 산업·노동자·투자자·시민 모두에게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본 기획은 산업구조 변화 한복판에서 건설사들이 ‘실제 현장을 어떻게, 어디까지 바꾸고 있는지’ 숫자와 제도, 문화와 과제까지 균형 있게 점검하고자 했습니다.[편집자·주]
[글싣는 순서]
①현대건설, 업계 최고 수준 안전투자… 성과와 과제는
②대형 사고 아픔 넘어… HDC현대산업개발, ‘안전·ESG 경영’으로 신뢰 회복 나선다
③사고·변화의 갈림길에서… GS건설, ‘안전·ESG 리더십’으로 도약할까
④안전과 ESG, 롯데건설의 새 성장엔진 될까
⑤대우건설, ‘최다 사망’ 불명예… 안전도, ESG도 '뒷걸음'
⑥“지속가능 건설의 모범”… 삼성물산, 안전·ESG 경영에서 업계 리더십 지킬까
⑦안전 투자의 그늘…DL건설, “예산 늘렸지만 여전히 남은 과제”
최근 대형 건설사들이 잇따른 산업재해와 사망사고로 홍역을 앓고 있다. 정부의 중대재해처벌법 시행과 투자자 ESG 경영요구가 맞물리며, ‘현장 안전’은 더는 비용이 아닌 기업의 생존 전략이 됐다.
특히 현대건설은 업계 최고 수준의 안전 예산 집행, 디지털 기반의 실질적 안전관리, 그리고 ESG(환경·사회·지배구조)와 연계된 경영 혁신을 앞세우고 있다. 하지만 지속적으로 사고가 반복되는 현실은 앞으로 남은 과제를 드러낸다.
■ 예산과 제도, 선언 넘어 '실질 성과'로
현대건설은 2023년 안전예산을 2773억 원으로 크게 늘렸다. 전년 대비 16% 증가, 2021년(1349억 원)의 두 배가 넘는다. 안전 관련 디지털 기술, 안전실명제, 현장별 위험요소 실시간 관리와 무사고 인센티브 등 신규 프로그램도 도입했다. 협력사 지원 및 안전관리비 선지급 등 파트너 생태계 안전망도 강화했다.
ESG 경영 측면에서는 2045년 밸류체인 탄소중립, 2030년 온실가스 46% 감축 목표 등 글로벌 흐름에 맞는 청사진도 공개했다.
■ 숫자가 드러낸 ‘또 다른 현실’… 성과와 한계
하지만, 막대한 투자에도 불구하고 2023년 현대건설의 산재는 628건으로 전년 대비 약 36% 증가했다. 디지털 기술도입 및 제도 강화가 실제 사고를 뚜렷이 줄이지 못하는 '실행력의 벽'이 확인됐다.
경쟁 기업들도 비슷한 현실을 겪고 있다. DL이앤씨는 같은 해 안전예산 997억 원까지 확대하고 CSO(최고안전책임자)까지 선임했지만, 사망 사고가 반복됐다. 포스코이앤씨는 공식 ESG 경영을 천명하고 있지만, 올해만 5건의 산재와 4명의 사망자가 기록됐다.
결국 “돈만 투입하면 되는 것인가”라는 근본적 질문에 업계 전체가 답을 찾지 못하고 있다.
■ 새로운 실험, 그리고 과제
현대건설은 2024년 이후에도 관리 체계의 정밀화, 근무환경 혁신, 내부 고발 활성화, 협력사의 실질적 안전역량 강화 등 ‘행동 기반’ 접근을 함께 확대할 방침이다. 단일 기업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자성도 나온다.
결국, 안전 투자와 ESG 경영이 '외부 과시'나 '제도적 방어'를 넘어 실제 현장 안전문화로 정착돼야만 경쟁력과 신뢰를 확보할 수 있다는 공감대가 확산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외 시장에서 현대건설처럼 적극적으로 투자와 혁신을 시도하는 기업이 늘고 있지만, 현장의 체감도가 올라가지 않는 한 사회적 신뢰도는 쉽게 따라오지 않는다”며 실질적 변화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