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KT노동자 연이은 사망 관련 시민사회 긴급 기자회견
KT 새노조 등 "고용노동부, 즉각 특별근로감독 실시해야"
정신건강 지원 시행, 재발 방지 대책 마련 등 요구

[뉴스클레임]
지난해 10월 KT 대규모 구조조정 이후 노동자 5명이 연이어 목숨을 잃는 가운데, 시민사회가 강압적 구조조정과 직장 내 괴롭힘을 중단하라며 목소리를 높였다. 특히 기술직 노동자들을 강제 배치한 '토탈영업TF'가 괴롭힘과 정신적 붕괴의 현장이라며 즉각 해체를 요구했다.
공공운수노조 KT 새노조와 34개 시민사회단체는 20일 오전 광화문 KT빌딩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KT노동자들을 죽음과 고통으로 내모는 토탈영업TF 해체와 김영섭 사장 사퇴"를 촉구했다.
이들은 "이 죽음들은 개인의 불행이 아니라 강압적 구조조정과 직장 내 괴롭힘이 빚어낸 사회적 참사"라고 규정하며 고용노동부의 특별근로감독을 요구했다.
지난해 10월 KT의 대규모 구조조정 이후 KT 노동자 5명이 잇따라 사망했다. 구체적인 사망 현황을 보면 ▲2024년 11월 명예퇴직 직원 심장마비 돌연사 ▲2025년 1월 토탈영업TF 소속 40대 직원 자살 ▲2025년 5월 또다른 토탈영업TF 소속 40대 직원 자살 ▲2025년 6월 자회사 전출된 직원 자살 ▲2025년 7월 토탈영업TF 직원 심정지로 사망 등이다.
특히 토탈영업TF 소속 직원 3명이 사망한 점이 주목된다. 지난해 KT는 5800여 명을 대상으로 희망퇴직·전출을 강요하는 구조조정을 강행했고, 잔류를 선택한 기술직 2500명을 강제로 '토탈영업TF'로 배치했다.
수십 년간 기술 업무를 담당해온 직원들에게 영업 업무는 감당할 수 없는 부담이었고, 이는 곧 괴롭힘으로 이어졌다는 지적이다.
정책연구소 이음의 정신건강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한 영업직군 노동자의 74.5%가 고용 불안을 호소했고, 62.7%가 우울증, 88.1%가 불안장애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려 92%가 업무 부적합을 호소했고, 94.4%는 여전히 고용 불안을 느끼고 있었다.
토탈영업TF에서는 구조조정 과정에서 ▲"모멸감과 자괴감을 느낄 것"이라는 경영진의 협박성 발언 ▲도서·산간지역 원거리 발령 계획 ▲기술직원의 영업직 강제 발령 ▲PC로그를 이용한 감시 ▲퇴근 후·주말 실적 압박 ▲저성과자 모욕 ▲법인카드·근무 통제 등 차별과 압박이 일상화되어 있다고 기자회견 참가자들은 주장했다.
김미영 KT새노조 위원장은 "KT는 매출 26조의 좋은 회사지만, 20여 년간 무리한 구조조정으로 노동자들이 돌연사·자살하며 '죽음의 KT'라는 오명을 얻었다"며 "김영섭 대표는 구조조정이 없다고 하더니 하루아침에 말을 바꾸어 5800명을 대상으로 강제 구조조정을 시행했다"고 비판했다.
이어 "안창용 부사장, 최시환 대표, 지사장들은 모멸과 협박으로 노동자들을 압박했고, 결국 극단적 선택으로 이어졌다"며 "이는 명백한 폭력적 구조조정"이라고 규정했다.
김혜진 전국불안정노동철폐연대 대표는 "2013년도 KT 아현지사 화재 사건으로 일대가 이에 불통이 되었던 그 상황을 생각해 보면 통신의 공공성이 얼마나 중요한지 우리는 잘 알 수 있다"며 "기업이 돈벌이에 혈안이 되면 자신의 사회적 책무를 망각할 뿐 아니라 그 안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의 권리도 침해하게 된다"고 지적했다.
이재명 정부를 향해선 4가지를 요구했다. 이들은 ▲고용노동부는 즉각 특별근로감독을 실시하고 직장 내 괴롭힘, 강압적 구조조정 실태를 철저히 조사해 관련 책임자를 엄중히 처벌할 것 ▲KT 김영섭 사장은 즉각 사퇴하고 노동자의 죽음을 방치한 무능·무책임 경영에 책임질 것 ▲토탈영업TF를 해체하고 차별적 인사 발령을 철회해 조직을 폐지할 것 ▲정신건강 지원을 즉시 시행하고 토탈영업TF 직원들에 대한 전문적 상담·치료를 제공하며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할 것 등을 이야기하며 "노동자의 죽음을 방치한 무능·무책임 경영에 책임을 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