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호선 청소용역 노동조합, 재입찰계획 중단 등 요구
“청소노동자 피해·고용불안 지속… 서울시는 조정자 역할 나서야”

9호선 청소노동자들이 서울시에 청소용역 재입찰 중단과 정규직 채용을 요구하며 나섰다.
9호선 청소용역 노동조합은 19일 오후 서울 중구 서울특별시청 동편 인도에서 집회를 열고 “주무관청인 서울시는 운영주체를 변경한 책임이 있는 만큼 ‘9호선 1단계는 민간운영’이란 핑계를 멈추고 확실하게 조정자 역할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앞서 서울시는 지난 7월 1일부터 지하철 9호선 1단계 구간(개화~신논현) 운영을 시행사인 ‘서울시메트로9호선’이 맡는다고 밝혔다. 지하철 9호선 1단계 구간은 민간자본이 투입돼 건설된 노선이다.
서울메트로9호선이 직영함에 따라 운영구조도 단순화됐다. 그간 운영사를 통해 위탁했던 청소 용역 등을 시행사가 계약을 인수해 직접 관리하게 된 것이다. 9호선 차량기지 및 역사 청소를 맡았던 청소용역계약 3개 업체에 대한 계약도 인수됐다.
그러나 노조의 입장은 달랐다. 9호선이 7월 1일부터 운영주체가 변경됐다는 이유로 기존에 청소용역을 수행했던 유지보수회사의 도급에서 청소용역만 가져가고 기존 입찰 계약을 무시했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특히 노조는 “2018년 10월 28일부터 2020년 10월 22일까지 입찰계약한 것은 무시됐다"며 "7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4개월만 계약하고 재입찰을 하겠다는 게 과연 정당한 행동인가”라고 비판했다.
노조는 “9호선 1단계의 주무관청인 서울시장에게 지난 1월 31일 기 입찰한 계약기간을 유지해 달라는 청원서와 서신을 보냈다”며 “이후 3월 6일 ‘기존 계약의 기간 및 내용 등에 대한 변경 없이 인수인계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는 해놓고 지금까지 나 몰라라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청소노동자의 피해와 고용불안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용역계약 1년을 빼앗아서 입찰하는 게 과연 누구를 위한 것인지 모르겠다”고 지적하며 “계약기간 인정, 재입찰 중단, 자회서 설립 등을 요구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