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난한 사람은 목소리도 못낸다. 그리고 마지막 순간에 죄송하다는 말을 남기고 떠난다. 현실이 참혹한 이유다. 불쌍해서 도와줘야 하는 게 아니라, 세상에 태어나서 가난을 겪을 수밖에 있는 사람이 누군가 있다면 그것이 나도 될 수 있다라는 사실에 기반했으면 좋겠다. 그래서 있는 게 복지고, 사회보장이다. 그렇기 때문에 당당히 요구한다. 복지가 필요한 사람이 약하고 불쌍해서가 아니라 누구라도 가난한 상황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제도를 바꾸자는 거다." 이는 기초법바로세우기 공동행동 관계자의 말이다.

28일 3.1절을 하루 앞두고 가난한 이들의 죽음을 멈추자는 취지의 추모제가 열렸다.

기초법바로세우기 공동행동과 함께 하고 서울주거복지센터에서 일하는 김선미씨는 "송파 세모녀 돌아가시고 나서 '죄송합니다'라는 쪽지와 월세를 놓고 갔다는 소식을 듣고 너무 아쉬웠고, 제도의 한계를 느꼈다. 실무자에게 전달이 안 돼 사람이 죽는 상황은 막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주거불안을 호소하는 빈곤층은 이맘때 연료비 때문에 가장 많은 고충을 토로한다"며 "기초법에 있는 생계급여가 워낙 낮게 책정돼 있으니까, 전전긍긍하는 이들이 허다하다"고 덧붙였다.

더 자세한 내용은 <뉴스클레임 유튜브 영상>을 클릭하면 현장의 목소를 들을 수 있다.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