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한미군, 한국인 노동자에 뮤급휴직 시행 통보
한국인노동조합 “한·미 동맹 정신 훼손하는 역사의 오점”
“출근 투쟁으로 무급휴직 사태 맞설 것”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속 한·미 방위비 분담금 협정이 끝내 타결되지 않았다. 주한미군은 이를 이유로 한국인 노동자들에게 4월 1일부로 잠정적 무급휴직을 시행한다고 통했다. 주한민군한국인노동조합(이하 노조)는 출근 투쟁을 이어가며 물러서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노조는 20일 오후 미국 대사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한국인 노동자들의 무급휴직은 대한민국 국민과 안보는 물론 수만 명의 주한미군과 가족들의 생명, 안전에도 치명적인 위협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노조에 따르면 주한미군은 생명·안전·보건 및 군사 대비태세 관련 분야의 노동자 3000여명에 대해서만 필수 인력으로 분류했다. 이들은 “노동자 9000명 중 주한미군 임무수행과 관련되지 않은 노동자는 단 한 명도 존재하지 않는다”면서 “미국은 9000명의 한국인 노동자뿐만 아니라 수만 명의 주한미군과 가족들도 볼모로 협상을 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앞서 한국 정부는 주한미군 한국인 노동자의 무급휴직을 막기 위해 인건비 문제에 대한 우선 타결을 시도했다. 미국은 총액 타결이 오히려 지연될 가능성이 크다면서 이를 거부했다.
노조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한·미동맹의 정신을 짓밟고 한·미동맹을 돈으로 사라고 강요하고 있다. 그 결과 한국인 노동자 무급휴직이라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했다. 이는 한·미동맹의 정신을 훼손하는 역사의 오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미국은 숭고한 한·미동맹의 정신을 훼손하고 한국의 안보를 포기했다. 같이 가자고 외치며 70년간 함께한 한국인 노동자의 생계를 포기했다”며 “주한미군 한국인 노동자 모두가 필수직이라는 의무감을 가지고 한·미동맹의 정신을 지키기 위해 끝까지 출근 투쟁을 이어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