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극복 위한 ‘긴급 사회적 대화 촉구’ 기자회견
상병수당 도입·감염병 대응체계전면 재구축 등 촉구

매년 4월 7일은 ‘세계 보건의 날’이다. 국민 보건의식을 향상시키고 보건의료 및 복지 분야의 종사자를 격려하기 위해 지정된 날이다.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이하 보건의료노조)는 세계 보건의 날을 맞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극복을 위한 긴급 사회적 대화를 촉구했다.
보건의료노조는 7일 오전 청와대 분수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감염병 대응체계와 의료 안전망을 구축하고, 의료인 보호 대책을 마련하라”고 주장했다. 일부 보건의료노조 소속 조합원들은 방호복을 입은 채 기자회견에 참석했다. 이들은 △감염병 대응체계 전면 재구축 △공공의료 강화 △상병수당 도입을 통한 의료 안전망 구축 △코로나19 사태 장기화에 맞선 의료진 보호 등을 요구했다.

보건의료노조는 코로나19 사태로 드러나 부실한 감염병 관리체계를 지적하고 나섰다. 김정은 서울시 서남병원 지부장은 “구로 콜센터 집단감염 사태는 ‘아파도 쉴 수 없는’ 노동 환경이 감염병 차단을 어렵게 만든다는 사실을 뼈저리게 나타냈다”며 “상병수당 도입을 통해 노동자가 아파서 일하지 못하고, 일하지 못해 빈곤층으로 추락하는 일을 막아야 한다. 의료 안전망 구축도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안수정 국립중앙의료원지부장은 “진주의료원 재개원 공공어린이 재활병원 설립 등 공공의료 강화 및 확충은 이미 21대 총선의 화두로 떠올랐다. 전국의 공공의료기관은 코로나19 전담병원으로 지정돼 최전선에서 역할을 다하며 공공의료 확충의 중요성을 알렸다”면서 “현재 병상수 기준에 10%에 불과한 공공의료 비율을 30%까지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감염병 대응체계를 전면 재구축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노재욱 고대의료원 지부장은 “성숙한 시민의식으로 비교적 성공적인 방역이 이뤄지고 있지만 부실한 감염병 관리체계가 속속히 드러났다. 확진자가 입원하지 못하고 자가 격리 중 사망하는 안타까운 사건이 발생했다”며 “의료전달체계 개선이 시급하다. 중앙·권역별 국가 감염병 전문병원을 설립하고 민간을 포함한 의료기관 협력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전했다.
의료 인력을 확충하기 위한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보건의료노조에 따르면 한의사를 포함해 우리나라 임상 의사 수는 인구 1000명 당 2.3명으로, OECD 국가 중 가장 적다. 임상 간호사 수는 3.5명으로, OECD 평균 7.2명보다 두 배 가량 낮다.
보건의료노조는 “의료인력 부족 상태를 더 이상 방치해서는 안 된다. 의료시스템 붕괴를 막고 의료재난을 극복하기 위해 온몸으로 싸우는 의료진들을 위해서라도 부족 인력을 확충하고 안정적으로 수급하기 위한 조치가 우선돼야 한다”고 밝혔다.
영상촬영편집=이승환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