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행동 “일본 방사성 오염수 해양방류 반대”

일본 도쿄전력이 일본 원자력규제위원회에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출 실시계획안을 제출한 가운데, 국내 시민단체들이 오염수 방류 저지를 위해 한국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일본 방사성 오염수 방류 저지 공동행동(이하 공동행동)은 23일 오전 서울 종로구 주한일본대사관 앞에서 긴급기자회견을 열고 “일본 정부는 후쿠시마 방사성 오염수 해양 방류 추진을 중단하고, 우리 정부는 오염수 방류 저지를 위해 더 적극적으로 대응하라”고 촉구했다.
도쿄전력은 지난 21일 원자력규제위원회에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 방류 실시계획의 심사를 신청하는 ‘후쿠시마 제1원전 특정원자력시설에 대한 실시계획 변경인가안’을 제출했다. 이는 실제 오염수 방류를 위한 필수절차로, 실시계획안에는 원전 오염수를 해양에 방류하는데 필요한 관련 설비 및 운영방법, 오염수 농도분석, 취수·방수 방법 등에 대한 내용이 포함돼 있다.
이와 관련, 공동행동은 “도쿄전력의 ‘방사선 영향 평가 보고서’에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 해양 확산 시뮬레이션을 하고 있지만, 어느 시점에서의 평가인지 알 수 없다. 방사성 물질은 우리 몸에 축적돼 잔류하며 피폭을 시키는데, 방사성 물질의 누적에 의한 피폭의 심각성도 무시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방사성 물질 농도를 낮춰 버린다고 해도 결국 버려지는 방사성 물질의 총량은 변하지 않는다”며 “일본 정부는 오염수의 방사성 물질 농도만을 공개할 뿐, 오염수 방출의 총량에 대해서는 공개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공동행동은 또한 후쿠시마 방사성 오염수가 방출되면 방사성 오염수의 국내 유입을 막을 방법이 없다며 한국 정부에 일본정부의 해양 방류 결정을 막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우리 정부는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식의 대응이 아닌 오염수 해양방출을 막기 위해 적극적 노력을 해야 한다. 그것이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정부가 해야 할 최소한의 의무다”라고 요구했다.
일본 정부를 향해서는 “후쿠시마 방사성 오염수 해양 방류 추진을 중단하고, 후쿠시마 방사성 오염수의 환경 영향 평가를 인접국과 협의해 제대로 실시하라”고 촉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