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총, 2022년 기업규제 전망조사 결과..."대전 전후 표퓰리즘 쟁책 남발 우려, 규제 환경 부정적 전망"

경총 제공
경총 제공

 기업들은 올해 대선 전후 표퓰리즘 정책 남발로 규제 환경이 부정적일 것으로 전망했으며, 가장 부담이 높은 규제로 중대재해처벌법을 꼽았습니다.

한국경영자총협회(회장 손경식·이하 경총)가 전국 10인 이상 총 1112개 기업(응답기업 기준)을 대상으로 '2022년 기업규제 전망조사'를 실시한 결과, 기업규제 전망지수(RSI)는 93.3으로 기준치(100)를 밑돌아 기업 규제 환경을 부정적으로 전망했습니다.

17일 경총에 따르면 올해 기업규제 환경을 부정적으로 전망한 기업들은 그 이유로 '대선 전후 포퓰리즘 정책 남발'(31.5%), '정부 규제개혁 의지 부족'(29.2%)을 가장 높게 선택했습니다.

2022년 기업규제 환경을 가장 부정적으로 전망한 업종은 '건설'(73.4)과 '철강'(77.5)으로 분석됐습니다.

올해 1월 27일 시행된 중대재해처벌법 영향으로 건설·철강 업종 기업들이 규제환경을 가장 부정적으로 전망했습니다.

그 다음으로 '조선·해운'(87.2)과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89.4)도 RSI가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신산업 분야인 ‘제약·바이오’, ‘플랫폼서비스’는 RSI가 100을 초과해 올해 기업규제 환경을 개선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2022년 규제 환경을 가장 부정적으로 전망한 지역은 '광주'(62.5)로 나타났습니다.

그 다음으로 RSI가 낮은 지역은 '전북'(70.0)·'대전'(77.8) 순으로 집계됐습니다.
 
반면 RSI가 100을 초과한 지역은 '세종'(110.7)과 '경북'(106.8), '인천'(106.7)으로 조사됐습니다.
 
12개의 규제 이슈 중 2022년 기업 부담지수(5점척도)가 가장 높은 규제는 '중대재해처벌법'(3.48)으로 나타났습니다.
 
중대재해처벌법은 업종별로 12개 중 8개 업종에서 기업 부담이 가장 높은 1순위 규제로 집계됐습니다. 

응답 기업들은 차기정부에 바라는 규제개혁 정책과제로 '총괄 컨트롤타워 신설'(52.0%)을 가장 높게 선택했습니다.

이어 'One-in, Three-out Rule'(규제 1개 신설시 기존 규제 3개를 폐지하는 제도) 도입(17.2%), 전체 규제 일몰제 적용(15.5%), 의원 입법 발의시 규제심사 절차 도입(13.0%) 순으로 집계됐습니다.

기업 규모가 작을수록 RSI가 낮게 조사돼 소기업일수록 규제환경 전망이 부정적인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중소기업(300인 미만)이 대기업(300인 이상)보다 국회와 정부의 규제개선 의지도 더 낮게 평가했습니다.
 
이형준 경총 고용·사회정책본부장은 "중대재해처벌법으로 인한 기업 부담이 가장 높게 예상되고 있어 보완책 마련이 시급하다"며 "기업의 규제 리스크를 최소화하여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겠다는 새 정부의 강력한 정책의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