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습기살균제 참사 피해 관련 최종 조정안이 11년 만에 나왔다. 피해자들은 조정위의 최종 조정안 전면 수정을 촉구했다. 피해자들의 입장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했다는 이유에서다.
가습기살균제 합의를 위한 피해자단체(이하 가피단)는 31일 오전 서울 종로구 통의동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인근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현 조정안은 배보상 개념이 아닌 피해 지원금 형태로 마련되고 있다. 가습기살균제로 인해 목숨을 잃었다면 최소한의 위로금(영리적 불법행위 기준금액 3억)은 책정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수천 명의 피해자들은 아직도 제대로 된 피해 인정을 받지도 못하고, 이로 인해 치료조차 못하고 있다. 가족을 편안히 보내주지도 못한 상황에 놓여 있다”며 “피해자들은 지난해 11월 주요 가해 기업에게 가습기 살균제 통합 재보상 시스템을 구축해줄 것을 요구했지만, 기업들은 정부가 개입되지 않으면 배보상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다고 답해왔다”고 말했다.
이후 일부 기업이 피해자들의 요구에 뒤늦게 응답했고 조정위원회를 통해 조정이 진행되고 있지만, 기업들의 입장이 다르고 정부의 책임성 부재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가피단은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과 인수위가 나서서 피해자들이 수용할 만한 조정안이 도출되도록 힘을 실어야 한다”며 “윤 당선인은 조정위를 통해 피해자들과 기업 간 원만한 합의가 도출될 수 있도록 협조해달라”고 촉구했다.
또한 “정부 부처의 안전관리 부실로 참사가 벌어진 만큼 정부가 어떤 방법으로든 책임을 지고 사과를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