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활동지원지부, 용산 대통령집무실~세종시 보건복지부 도보행진

[뉴스클레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속 없어서는 안 될, ‘필수노동자’로 불렸던 이들이 있다. 장애인이 인간다운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일상생활 등을 지원한 ‘장애인활동지원사’다. 

사회적 거리두기가 전면 해제되고 모두가 조금씩 일상으로 돌아가는 시기에, 장애인활동지원사들은 7일부터 오는 15일까지 서울 용산 대통령 집무실부터 세종 보건복지부까지 도보행진을 진행한다. 감염병 재난 시기 속 필수노동자라고 불리며 칭송을 받았으나 현실은 정반대이기 때문이다.

7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 집무실 앞에서 진행된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 장애인활동지원지부 ‘도보행진 출정 기자회견’. 사진=김동길 기자
7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 집무실 앞에서 진행된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 장애인활동지원지부 ‘도보행진 출정 기자회견’. 사진=김동길 기자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 장애인활동지원지부(이하 장애인활동지원지부)는 이날 오전 용산 대통령 집무실 앞에서 ‘도보행진 출정 기자회견’을 열고 “코로나19 재난 시기에 감염 위험을 뚫고 중증장애인의 일상생활을 지원하기 위해 일해왔다. 그러나 코로나19 이전부터 사회적으로 매우 중요한 필수노동자로 분류되면서도 열악한 임금과 노동조건, 고용불안에 시달리는 직업이 됐다”고 주장했다.

이어 “또한 시간제 노동으로 인해 안정적인 소득과 생활을 담보할 수 없다. 심지어 채용이 됐으나 채용한 기관에서는 소득을 위해 책임지지 않아도 되는 등 법에서 정한 급여인 최저임금을 보장하지 않아도 되는 노동자로 분류되고 있다”고 토로했다.

이와 함께 윤석열 정부에 ▲장애인활동지원사들에게 급여를 시간제가 아닌 월급제로 보장 ▲장애인 이용자와 활동지원 노동자의 참여가 보장된 (가칭)장애인활동지원수가결정위원회 구성 ▲최저임금 대폭 인상 등을 요구했다.

장애인활동지원지부는 “국가의 공공사회서비스인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 제도의 문제와, 서비스의 중요한 주체인 장애인활동지원사 노동자의 현실을 알리기 위해 도보행진을 시작한다”며 “모든 장애인활동지원사들에게 월급제가 도입되는 그날까지 중단없이 투쟁할 것을 결의한다”고 밝혔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