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클레임] 청년들의 곡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턱없이 부족한 물량 때문에 공공임대주택에 입주하지 못한 7만8000여명의 청년들은 전세 사기 없는 공공임대주택을 기다리고 있다. 최근 폭우 참사로 인해 주거취약계층과 저소득층을 위해 공공임대주택을 늘려야 한다는 사회적 공감대도 커지고 있지만, 윤석열 정부는 공공임대주택 예산을 약 5조7000억원을 삭감했다.

발언하는 지수 민달팽이유니온 위원장
발언하는 지수 민달팽이유니온 위원장

지수 민달팽이유니온 위원장은 말로만 주거취약계층의 주거문제를 해결하겠다고 하는 윤석열 정부를 규탄하며 공공임대주택 예산을 대폭 증액할 것을 촉구했다. 

지수 위원장은 “윤석열 정부는 공공임대주택을 삭감하고 분양과 대출을 늘리는 것만을 정상화라고 칭하고 있다. 수백만원으로 사람답게 살 수 있는 집을 없애고 수억원에 달하는 빚을 짊어지라는 게 정상화인가”라며 “윤석열 정부가 무슨 수로 주거취약계층의 주거문제를 해결하겠다고 5조7000억원을 삭감하고 있는지 알 수 없다”고 일갈했다.

이어 “공공임대주택 예산은 공중 위로 날려버리고 14조5000억원에 달하는 공공부지는 팔아넘기는 등 대체 왜 국가가 나서서 공공의 자원을 민간이 사유화하도록 부추기는 것인가. 이것이 서민과 미래, 청년들을 위한 선택인가”라고 물으며 “빚을 져야만 주거 안정을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라 지금 당장 월세로 30만원만 부담할 수 있어도 빗물이 잠기지 않는 집에서 살 수 있다고, 그 희망을 이야기하는 사회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