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10·29 이태원 참사 시민대책회의 발족
국가책임 인정, 성역없는 진상규명 등 촉구

[뉴스클레임] 이태원 참사 진상규명과 책임규명, 피해자 지원, 재발방지에 175개 시민사회단체가 뜻을 모았다.

참여연대, 전국민중행동, 민주언론시민연합, 생명안전넷 등은 7일 오전 서울 종로구 한국기독교회관에서 ‘10·29 이태원 참사 시민대책회의 발족’ 기자회견을 열고 성역없는 철저한 진상규명과 책임 규명, 재발방지와 안전사회를 위한 근본적인 대책 마련 촉구 등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들의 대응 기조는 ▲국가책임 인정, 공식 사과 ▲이태원 참사 기억과 희생자 추모 ▲피해자 권리를 중심으로 한 지원대책 마련 ▲성역없는 철저한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 ▲재발방지 및 안전한 사회를 위한 근본적 대책 마련 등 5가지다. 

활동기구는 ▲진상규명위원회 ▲피해자권리위원회 ▲미디어감시위원회 ▲추모행동위원회 ▲대외협력위원회 ▲법률지원단으로 구성됐다.

7일 오전 서울 종로구 한국기독교회관에서 열린 ‘10·29 이태원 참사 시민대책회의 발족’ 기자회견
7일 오전 서울 종로구 한국기독교회관에서 열린 ‘10·29 이태원 참사 시민대책회의 발족’ 기자회견

이들은 “이태원 참사는 국가가 책임을 다하지 않아 발생한 참사지, 제도가 미비하거나 매뉴얼이 없어서 발생한 것이 아니다. 이태원 현장에는 국가는 없었고, 조직적인 무책임으로 점철된 국가가 이태원 참사를 만들었다”며 “윤석열 정부는 ‘시민 안전’을 국가정책의 최우선 순위로 두도록 해야 한다. 정부정책 기조를 시민 안전에 맞춰 전면 개편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진짜 책임자’ 수사는 지지부진하고 대통령과 국민의힘이 책임자 비호에 앞장서고 있음을 지적하며 “국민의힘은 공당으로서 무책임하고 염치없는 행태를 중단하고 국정조사에 성실히 임해야 한다. 무엇보다 국민 다수가 동의하는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의 해임 요구는 최소한의 정치적 책무이다”라고 강조했다.

이들은 “피해자 권리를 중심으로 한 지원대책이 마련되도록 요구하고 압박할 것이다. 미디어 감시를 통해 2차 가해가 더는 확산하지 않도록 막아내고 더 많은 시민과 함께 기억과 애도를 이어나가겠다”라고 말했다.

민대책회의는 오는 16일 오후 6시 이태원역 1번 출구 앞에서 희생자 유가족가 함께 '참사 49일 시민추모제'를 열 예정입니다.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