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생명안전 후퇴 윤석열 정부 규탄’ 민주노총 결의대회

[뉴스클레임] 생명안전 근본대책을 요구하는 노동자들이, 조합원들이 국회 앞에 모였다.

민주노총은 7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인근에서 작업중지권 및 노동자 참여 보장 산업안전보건법 개정 촉구, 중대재해기업처벌법 무력화 규탄, 중대재해 처벌을 촉구하며 결의대회를 열었다.

7일 오후 국회의사당역 앞 ‘생명안전 후퇴 윤석열 정부 규탄, 노동자 참여 입법 촉구, 민주노총 결의대회’
7일 오후 국회의사당역 앞 ‘생명안전 후퇴 윤석열 정부 규탄, 노동자 참여 입법 촉구, 민주노총 결의대회’

진짜 책임자 처벌을 촉구하고 나선 권미정 김용균재단 사무처장은 김용균 4주기 추모 주간에 죽음의 벨트를 끊어내는 투쟁에 나서겠다고 선포했다.

그는 “안전의 기준을 바꾸는 투쟁에서 김용균 노동자는 큰 힘이었다. 그러나 여전히 김용균 투쟁은 현재 진행형이다. 죽음의 이유조차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며 “특조위에서 죽음의 이유를 밝혔다고, 우리 사회는 김용균의 죽음이 사회적 타살이라고 인정했다. 반면 기업과 정부는 인정하지 않고 있다. 재판장에서는 이 죽음의 이유가 무엇인지 가리고 있으며, 누구도 책임지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권미정 사무처장은 특히 “중대재해처벌법이 만들면서 우리는 모두의 생명을 지금보다는 지킬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중대재해처벌법은 만드는 것이 다가 아니다. 이를 현장에서 어떻게 적용할지 그 싸움을 해야 한다. 살기 위해 싸우는 노동자들의 모든 투쟁을 압살하고 안전을 위해 투쟁하고 있는 노동자들의 권리를 짓밟고 있는 정부를 향해 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 싸움을 위해 4주기가 끝나고 투쟁의 끈을 놓지 않을 것이다. 김용균을 죽였던 위험의 외주화 벨트는 발전소에서, 도로 위에서, 급식실에서 여전히 돌아가고 있다. 김용균 4주기 추모 주간은 컨베이어벨트를 세우는 투쟁으로 만들고자 한다. 그 죽음의 벨트를 끊어내는 투쟁을 해보고 싶다”고 말했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