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클레임]
공공운수노조 발전비정규직 노조원들이 석탄화력발전소 폐쇄에 따른 발전노동자 총고용 보장을 촉구했다.
공공운수노조는 31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 집무실 앞에서 '석탄화력발전소 폐쇄, 발전노동자 총고용 보장 촉구 기자회견'을 열고 "공공중심의 정의로운 에너지 전환을 바탕으로 실효성 있는 발전소 노동자들의 일자리 전환대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기후위기가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탄소 배출을 획기적으로 감축하는 것에 대해 누구도 이의를 제기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이제 탈탄소 정책의 일환인 석탄화력발전에서 재생에너지의 전환은 불가피하다. 한국 정부도 탈탄소 정책으로 석탄화력발전소 폐쇄에 따른 10차 전력수급 계획을 제출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정부의 10차 전력수급 계획에 따르면 석탄화력 발전 비중은 현재 4%에서 2030년 19.7%로 대량 축소된다.
또한 지난 7월 산업자원부의 연구 용역에 따르면 2034년까지 30기의 석탄화력발전소 폐쇄 후 24기 LNG 발전소로 대체한다 해도 정규직은 46.9% 1221명,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69.4% 3690명이 해고의 해고 위기에 직면하게 된다.
공공운수노조는 "'정의로운 에너지전환 위한 폐지 석탄발전소 활용방안 연구' 이후 2억8000만원을 들여 1년여간 연구용역에 돌입했는데, 지금은 연구만 할 때가 아니라 발전노동자와 대화해 실효성 있는 대책을 세울 때"라면서 "일자리 대책 시늉뿐인 자격증 취득 지원, 일자리 알선 등이 아닌 정의로운 에너지 전환을 바탕으로 발전소노동자들의 일자리 전환대책을 마련하는게 절실하다"고 요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