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오전 서울 종로구 참여연대에서 열린 '원격의료, 전자정보 실손보험사 제공 반대 기자회견'. 사진=무상의료운동본부
1일 오전 서울 종로구 참여연대에서 열린 '원격의료, 전자정보 실손보험사 제공 반대 기자회견'. 사진=무상의료운동본부

[뉴스클레임]

무상의료운동본부 주최로 '실손보험 청구 간소화'와 원격 의료 법제화를 추진하는 윤석열 정부를 규탄하는 기자회견이 열렸다.

1일 오전 서울 종로구 참여연대에서 열린 '원격의료, 전자정보 실손보험사 제공 반대 기자회견'. 사진=무상의료운동본부
1일 오전 서울 종로구 참여연대에서 열린 '원격의료, 전자정보 실손보험사 제공 반대 기자회견'. 사진=무상의료운동본부
1일 오전 서울 종로구 참여연대에서 열린 '원격의료, 전자정보 실손보험사 제공 반대 기자회견'. 사진=무상의료운동본부
1일 오전 서울 종로구 참여연대에서 열린 '원격의료, 전자정보 실손보험사 제공 반대 기자회견'. 사진=무상의료운동본부

무상의료운동본부는 1일 오전 서울 종로구 참여연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의료 민영화인 원격의료 제도화와 민간보험사 개인의료정보 축적을 위한 실손보험 청구 간소화를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1일 오전 서울 종로구 참여연대에서 열린 '원격의료, 전자정보 실손보험사 제공 반대 기자회견'. 사진=무상의료운동본부
1일 오전 서울 종로구 참여연대에서 열린 '원격의료, 전자정보 실손보험사 제공 반대 기자회견'. 사진=무상의료운동본부
1일 오전 서울 종로구 참여연대에서 열린 '원격의료, 전자정보 실손보험사 제공 반대 기자회견'. 사진=무상의료운동본부
1일 오전 서울 종로구 참여연대에서 열린 '원격의료, 전자정보 실손보험사 제공 반대 기자회견'. 사진=무상의료운동본부

이들은 "국민의 소액 보험금까지 자상하게 챙겨주려는 정부 여당의 꼼꼼함에 감동할 지경이다"라며 "소액 보험금 청구보다 가스요금 등 난방비, 전기요금, 대중교통요금 폭탄이 서민들에게는 훨씬 더 고통스럽고, 정부 여당이 시급히 해결해야 할 중요한 문제이다"라고 주장했다.

1일 오전 서울 종로구 참여연대에서 열린 '원격의료, 전자정보 실손보험사 제공 반대 기자회견'. 사진=무상의료운동본부
1일 오전 서울 종로구 참여연대에서 열린 '원격의료, 전자정보 실손보험사 제공 반대 기자회견'. 사진=무상의료운동본부

또 "대기업들이 원격의료 시장에서 돈벌이 하려고 투자해왔다. 이런 기업들이 의료 플랫폼에 뛰어들면서 의료를 영리화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 원격의료 허용이다"라며 "윤석열 정부는 코로나19의 경고를 공공의료를 강화하고 의료 인력을 확충하는 교훈으로 삼기는커녕 정반대로 의료 영리화에만 몰두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1일 오전 서울 종로구 참여연대에서 열린 '원격의료, 전자정보 실손보험사 제공 반대 기자회견'. 사진=무상의료운동본부
1일 오전 서울 종로구 참여연대에서 열린 '원격의료, 전자정보 실손보험사 제공 반대 기자회견'. 사진=무상의료운동본부
1일 오전 서울 종로구 참여연대에서 열린 '원격의료, 전자정보 실손보험사 제공 반대 기자회견'. 사진=무상의료운동본부
1일 오전 서울 종로구 참여연대에서 열린 '원격의료, 전자정보 실손보험사 제공 반대 기자회견'. 사진=무상의료운동본부

무상의료운동본부는 "다시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 사태가 닥쳐와 대면 진료가 어려워지면 지금처럼 한시적으로 하면 될 일이다. 이번 경험을 바탕으로 보다 더 체계적이고 안전한 방식으로 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 두면 된다"면서 "무엇보다 안전성, 부작용 등에 대한 평가가 반드시 필요하다. 단지 대수적으로 이용자들의 편리함만을 내세워 원격의료 도입을 정당화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