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기후행동 등 청년단체, 난방비 폭탄 규탄
"기후불평등 해소 위한 정책 마련해야"

[뉴스클레임]
청년들이 집에 있는 시간을 줄이고 있다. 감당할 수 없는 난방비 때문이라고 한다. 보일러가 돌아가는 소리는 공포의 대상이 됐다. 조금이라도 난방비를 줄이고자 집 안에 텐트를 치거나 비박용 침낭을 찾는 경우도 흔해졌다.
월세도 감당하기 힘든데 난방비를 시작으로 전기, 수도, 교통비, 심지어 등록금까지 인상되는 상황에 청년들은 가슴이 답답하다고 토로한다. 안 그래도 추운 겨울에 청년들이 더 추운 곳으로 내몰리지 않도록 에너지 재난지원금을 지급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청년하다, 대학생기후행동, 기후위기 서대문 비상행동 등 청년단체와 청년진보당은 9일 오전 서울 용산구 대통령 집무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의 난방비 폭탄이 청년들의 삶을 더 추운 곳으로 내몰고 있다. 전기, 수도, 가스에 이어 식품, 교통비 폭탄 등을 섬니들에게 던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대학생기후행동에 따르면 정부가 가정용 난방비 인상을 발표한 이후 지난해 3분기 도시 근로자 가구의 연료비 지출은 전년 대비 11.7% 증가했다. 그 중에서도 원룸에서 거주하는 도시 근로자의 연료비 지출은 19.4%로 가장 많이 증가했다.
지난달 10만원이라는 가스비 폭탄을 맞은 한 대학생은 "공공요금 인상이 저만의 이야기는 아니라고 생각한다. 공공요금 인상은 자취하는 친구들 사이에서 주된 화두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그는 "가스요금에 이어 전기요금도 한전 적자가 심각하다며 올린다고 한다. 대중교통비도 인상이 불가피해 교통비 폭탄이 다가온다고 한다"며 "법인세와 소득세, 종부세는 꽤 줄어서 연평균 약 13조원이 줄었다고 한다. 이런 부자감세만 줄여도 국민이 춥지 않게 경루을 살아갈 수 있을 것 같다. 어려운 청년들과 서민들에게 공공요금을 보편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정부의 방안을 내놓아야 한다"고 촉구했다.
대학생기후행동은 "에너지 대란 속 정부의 폭탄 돌리기와 결과가 취약계층에게 돌아왔다. 지금은 가스비이지만, 여름에는 전기세로 고통받을 것"이라며 "국민을 위한 정부라면 기후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해 기업과 정부가 책임지고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