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참사 유족 "사상자 금융정보조회, 인권침해"
기자회견 후 서부지검에 항의서한 전달

[뉴스클레임]
10·29 이태원 참사 유가족들이 경찰과 검찰이 희생자들의 개인정보를 무더기로 수집했다며 사과를 촉구했다.
10.29 이태원참사 유가족협의회, 이태원 참사 시민대책회의는 22일 오전 서울 마포구 서울서부지방검찰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검찰과 경찰의 안아무인식 오만한 수사방식에 유감을 표하며 수사 책임자들의 사과와 재발방지 약속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앞서 10·29 이태원 참사를 수사한 경찰철 특별수사본부는 지난 1월 금융정보 영장을 발부받아 참사 희생자 158명, 생존자 292명 등 총 450명의 교통카드 사용 내역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검찰의 보완 수사 요구로 참사 당일 이태원역장이 지하철 무정차 통과 요청에 응했는지 파악하기 위해 희생자와 피해자들의 교통카드 이용 내역을 들여다 본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태원 참사 유족들은 사전 설명도 없이 피해자의 동의를 구하지 않은 채 450명의 개인정보를 무더기로 수집했고, 이는 피해자와 희생자에 대한 2차 가해이자 정보 인권침해라고 지적했다.
피해자들에게 참사의 책임을 돌리기 위해 마약 거래 수사 등 별건 수사를 하는 것 아니냐는 의문도 제기됐다.
이들은 "금융거래조회 통지서를 받은 유가족들은 희생자들과 생존 피해자들에게 참사의 책임을 돌리기 위한 소위 '마약거래수사' 등 개별 유가족과 생존 피해자들에 대한 별건 수사가 이뤄지고 있는 것은 아닌지 의혹을 가질 수밖에 없다"며 "하루빨리 '이태원 참사 특별법'을 제정해 독립적 조사기구를 통해 이러한 의혹들을 조사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날 유가족협의회, 시민대책회의는 기자회견을 마친 후 항의서한을 서부지검 측에 전달했다.
이 서한에는 ▲서울교통공사 직원 혐의 입증에 450명 피해자 압수수색이 적절한 수사 방식인지 ▲설명 및 동의 없이 정보를 수집한 이유 ▲450명 선정 기준 ▲통신 조회 아닌 금융 정보 수집 방식 선택 이유 등의 질문이 담겼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