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클레임]

공공운수노조 소속 대표자들 대다수가 윤석열 정부 출범 1년의 주요 노동-사회-공공부문 정책에 대해 '잘못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공공운수노조는 9일 오전 서울 세종문화회관 앞 계단에서 '윤석열 정부 1년, 공공-운수-사회서비스 노동자 대표 선언'을 열었다. 이와 함께 지난 4월 18일부터 5월 8일까지 소속 사업장 대표자 58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윤석열 정부 1년 정책 및 신임도 평가' 조사 결과도 발표했다.

조사 결과, ▲노동정책 ▲공공부문 정책 ▲물가(민생) 대책 ▲사회정책 등 모든 설문조사 영역에서 부정평가(전혀 신뢰하지 않는다, 신뢰하지 않는다)가 94% 이상으로 나타났다. 특히 노동정책에 대한 부정평가는 97.2%로 가장 높았다.

'윤석열 정부의 연장근로시간 관리 단위 확대, 직무성과급제 확대 등 노동정책에 대해 어느 정도 신뢰하는가'를 묻는 문항에 대해선 512명(87.5%)이 '전혀 신뢰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긍정 평가는 1.0%에 그쳤다.

민영화와 공공기관 예산·인력 구조조정 등 공공부문 정책에 대한 평가에서도 '전혀 신뢰하지 않는다'가 500명(85.5%), '신뢰하지 않는다'가 66명(11.3%)으로 나타났다.

공공요금 인상 등 물가대책에 대해선 부정 평가가 563명(96.2%)으로 압도적 분포를 보였다. 긍정 평가는 1%에 불과했다.

9일 오전 서울 세종문화회관 앞 계단에서 열린 '윤석열 정부 1년 공공-운수-사회서비스 노동자 대표자 선언' 기자회견'에서 발언하는 현정희 공공운수노조 위원장. 사진=박명규 기자
9일 오전 서울 세종문화회관 앞 계단에서 열린 '윤석열 정부 1년 공공-운수-사회서비스 노동자 대표자 선언' 기자회견'에서 발언하는 현정희 공공운수노조 위원장. 사진=박명규 기자

이와 관련, 현정희 공공운수노조 위원장은 "공공운수노조 소속 대표자 94.7%가 윤석열 대통령을 신임하지 않고 있다. 압도적 대다수이다"라며 "노동자가 윤석열 퇴진 구호를 외쳐야 할 이유는 차고 넘친다"고 말했다.

그는 "윤석열 정권 1년 동안 공공성과 노동권의 시계는 거꾸로 흘렀다. 공공요금 국가책임 포기와 국민부담 전가, 저임금 등을 강요하는 노동개악 등이 집권 1년차 윤석열 정부가 남긴 발자국이다"라며 "공공성과 노동권이 국민 모두의 권리로 실현되도록 하기 위해 윤석열 정권에 정면으로 맞서는 투쟁을 선포한다"고 밝혔다.

이어 "9~10월 공동파업에는 주요 공공기관 노동자들이 앞장설 것이다. 윤석열 치하의 1년은 노동자에게 악몽이었지만, 우리의 공동파업은 대통령에게 더 큰 악몽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영상을 클릭하면 현장 발언을 더 생생하게 들을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