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열린 '대장동개발주도세력 엄벌 촉구 및 철거민 대책 촉구 기자회견'. 사진=김동길 기자
22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열린 '대장동개발주도세력 엄벌 촉구 및 철거민 대책 촉구 기자회견'. 사진=김동길 기자

[뉴스클레임]

22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대장동개발주도세력 엄벌 촉구 및 철거민 대책 촉구 기자회견'이 열렸다.

22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열린 '대장동개발주도세력 엄벌 촉구 및 철거민 대책 촉구 기자회견'. 사진=김동길 기자
22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열린 '대장동개발주도세력 엄벌 촉구 및 철거민 대책 촉구 기자회견'. 사진=김동길 기자
22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열린 '대장동개발주도세력 엄벌 촉구 및 철거민 대책 촉구 기자회견'. 사진=김동길 기자
22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열린 '대장동개발주도세력 엄벌 촉구 및 철거민 대책 촉구 기자회견'. 사진=김동길 기자

전국철거민협의회 중앙회 주최로 진행된 기자회견에서는 대장동배임고발사건 보고, 철거민 피해사례 등이 발표됐다.

22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열린 '대장동개발주도세력 엄벌 촉구 및 철거민 대책 촉구 기자회견'. 사진=김동길 기자
22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열린 '대장동개발주도세력 엄벌 촉구 및 철거민 대책 촉구 기자회견'. 사진=김동길 기자
22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열린 '대장동개발주도세력 엄벌 촉구 및 철거민 대책 촉구 기자회견'. 사진=김동길 기자
22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열린 '대장동개발주도세력 엄벌 촉구 및 철거민 대책 촉구 기자회견'. 사진=김동길 기자

기자회견 참석자들은 '성남 철거민 대책 수립', '보문5 대책 수립', '산성구역 세입자 대책 수립', '부천소사3지구 대책 수립' 등이 적힌 팻말을 든 채 발언을 이어갔다.

22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열린 '대장동개발주도세력 엄벌 촉구 및 철거민 대책 촉구 기자회견'. 사진=김동길 기자
22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열린 '대장동개발주도세력 엄벌 촉구 및 철거민 대책 촉구 기자회견'. 사진=김동길 기자
22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열린 '대장동개발주도세력 엄벌 촉구 및 철거민 대책 촉구 기자회견'. 사진=김동길 기자
22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열린 '대장동개발주도세력 엄벌 촉구 및 철거민 대책 촉구 기자회견'. 사진=김동길 기자

이들은 "철거민은 재개발의 피해자다"라며 "철거민도 국민이다. 윤석열 정부는 철거민 대책을 수립하길 바란다"고 요구했다. 

22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열린 '대장동개발주도세력 엄벌 촉구 및 철거민 대책 촉구 기자회견'. 사진=김동길 기자
22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열린 '대장동개발주도세력 엄벌 촉구 및 철거민 대책 촉구 기자회견'. 사진=김동길 기자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