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방사성 오염수 해양투기 저지 공동행동’ 전문가 간담회

[뉴스클레임]

환경단체와 전문가들이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최종 보고서에 대해 "객관적인 검증이 부족한 형식적 보고서"라고 지적했다. 

일본 방사성오염수 해양투기 저지 공동행동과 이정윤 원자력 안전과 미래 대표, 최무영 서울대 물리학과 명예교수, 백도명 서울대 보건대학원 명예교수는 6일 오전 서울 중구 프란치스코 회관에서 'IAEA 보고서의 문제점, 전문가 분석 기자 간담회'를 열었다.

이들은 "일본과 IAEA가 앞장서서 태평양을 오염시키려 한다. IAEA의 엉터리 보고서를 비판하고 총장의 방한을 반대한다"고 밝혔다.

6일 오전 서울 중구 프란치스코 회관에서 진행된 'IAEA 보고서의 문제점, 전문가 분석 기자 간담회'. 사진=환경운동연합
6일 오전 서울 중구 프란치스코 회관에서 진행된 'IAEA 보고서의 문제점, 전문가 분석 기자 간담회'. 사진=환경운동연합

최무영 교수는 "알프스와 처리수가 안전한지, 오염수에 핵종이 얼마나 분포하고 있는지에 대한 객관적 검증이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알프스가 필터를 통해 세슘, 루비듐 등을 흡착한다지만 모든 방사성 물질을 한번에 흡착할 수 있는 건 없다"며 "오염수 내 핵종의 정확한 종류, 개수도 알 수 없다. 최소 수 백 가지가 될 것으로 우려하는데 그 중에서도 7가지 정도만 흡착한고 한다"고 했다.

이어 "처리했다는 오염수의 70% 가량에도 기준을 만족하지 못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듯이 이마저도 제대로 성능을 발휘하지 못한다"고 말했다.

최무영 교수는 '모델링을 통해 예측한다는 것이 불확실하다는 것'도 지적했다. 실제 상황에선 어떤 조건인지에 따라 변수가 변할 수 있으며, 결과 역시 차이가 날 수 있다는 것.

그는 "핵심 문제는 핵페수를 배출했을 때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다. 우리가 다뤄야 할 문제는 환경과 생태계이지, 기계가 아니다. 세슘, 스트론튬, 삼중수소 각각의 안전성을 따져서 안전하다고 말 할 수 없다. 여러 요소 간의 상호작용, 즉 통합적인 통찰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위험성이 없다고 말하는 것이야말로 비과학적인 태도이다. 잠재적 위험성은 중요한 문제로, 이를 예의주시해야 한다"면서 "핵폐수 배출은 일본 입장에선 장기적 이익이 될 지 모르겠으나, 넓고 긴 기간으로 보았을 때 전혀 이익이 없다. 과학에서는 핵폐수 배출 문제를 어떻게 해야 할 지 명백하다"고 말했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