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지역 시민단체 "수서행 KTX 투입으로 부산시민 불편 해소하라"

13일 오후 부산역 광장에서 열린 '철도파업 지지 부산지역 시민사회종교 기자회견'. 사진=민주노총 부산본부
13일 오후 부산역 광장에서 열린 '철도파업 지지 부산지역 시민사회종교 기자회견'. 사진=민주노총 부산본부

[뉴스클레임]

전국철도노동조합(이하 철도노조)이 예고한 1차 총파업이 하루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부산지역 시민단체가 "수서행 KTX 투입으로 부산시민 불편을 해소하라"며 철도노조의 파업을 지지했다.

부산지역 시민사회종교단체는 13일 오후 부산 동구 부산역 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철도 민영화를 막고 공공성을 지키는 철도파업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부산시민사회가 철도노조와 함께 철도 민영화를 막아내고 공공성을 지켜내고 윤석열 정권에 대항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또 "철도 경쟁 체제, SRT 확대는 윤석열판 철도민영화 정책이다. 결국 민영화로 인해 발생할 철도 공공성의 후퇴는 기업들은 배만 불리고 서민들에게 큰 불편을 가져다줄 것"이라며 "지난 20년간 철도노조는 민영화를 막기 위해 파업을 반복해 왔다. 그때마다 열차는 지연됐지만, 민영화 역시 지연됐다. 국민 철도를 지키는 파업을 지지한다"고 했다.

철도노조 부산지방본부 변종철 본부장은 "철도노조의 파업은 시민의 불편을 줄이는 파업"이라며 "민영화된 영국의 고속철도와 신칸센 조차도 공동 운영 중이다. 분리 운영으로 불편을 키우기보다 KTX, SRT의 교차 운행을 비롯해 보다 조화로운 운행을 통해 더 많은 열차들을 효율적으로 운행하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철도노조는 오는 14일 오전 9시를 기점으로 파업에 돌입한다고 선포했다. 이번 파업은 2019년 11월 이후 4년 만이다.

철도노조의 요구는 ▲공공철도 확대 ▲4조 2교대 전면 시행 ▲성실 교섭 촉구·합의 이행 등이다. 

공공철도 확대에 따른 세부 요구사항은 ▲수서행 KTX 도입 ▲KTX와 수서발 SRT 연결 운행 및 운임 차이 해소 ▲코레일과 SR 통합 등이다.

철도노조는 "이번 총파업은 철도공사에 합의이행을 촉구하고 국토교통부가 대화에 나설 것을 요구하는 경고파업이다"라고 밝혔다.

이어 "총파업에 돌입하지만 필수유지인력 9300여명의 조합원은 현장에서 근무한다. 여기에 대체인력 6000여명을 추가할 경우, 파업 중 현장에서 근무하는 인원은 파업 전보다 더 많을 전망"이라며 "파업 중이라도 시민의 안전한 열차 이용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