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업계 사이버불링, 성희롱 및 성차별 실태조사
사이버불링 등 노동권 침해 피해 제보 88.7%는 '여성'

[뉴스클레임]
게엄업계 노동자들의 사이버불링 피해심각성이 '매우 심각'하다는 실태 조사 결과가 나왔다. 특히 게임업계 사이버불링 등 노동권 침해 피해제보의 88.7%는 '여성'이었다.
청년유니온, 더불어민주당 우원식 의원은 17일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게임업계 사이버불링, 성희롱 및 성차별 실태 제보 발표 및 시민 1만2475인 게임업계 근로감독 청원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9월 8일부터 10월 3일가지 게임업계 종사자 6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게임업계 노동자들의 사이버불링 피해 심각성은 4.35점(5점 척도)으로 '매우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례를 보면 악성 유저들이 게임회사 노동자들을 대상으로 "페미인지 답해"라며 칼로 난자당한 여성의 사진을 지속적으로 보내거나, 특정 직원의 해고를 요구하며 회사까지 찾아간 경우도 있었다.
응답자들은 게임회사 대다수가 사이버불링이 발생해도 해당 노동자를 보호하지 않고 방치하거나(50%, 23건) 피해노동자에 대한 개인 SNS 통제, 경위서 작성, 자발적 퇴사를 빙자한 사실상의 해고 등 불이익 조치(41.31%, 19건)를 하고 있다고 답했다.
2021년 개정된 산업안전보건법 제41조 제2항에 따라 게임회사는 악성유저들의 사이버불링으로부터 자사 근로자를 보호하는 조치를 취해야 한다. 그러나 그러나 2021년 10월부터 올해 8월까지 고용노동부가 실시한 산업안전보건 근로감독 4만6000건 중 게임업계 근로감독은 단 1건이었다.
게임업계 성평등 수준 역시 심각했다. 심각한 성희롱적 발언들과 더불어 "여자인 점 연봉에 반영된다", "너는 여자애니까 올해 승진은 어렵다"는 성차별적 발언, 면접과정에서의 페미니즘 사상 검증, 임신·출산 계획에 대한 질문, 육아휴직 및 임신·출산 직원에 대한 불이익 등 현행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위반 의심사례들도 다수 있었다.
김설 청년유니온 위원장은 "대한민국은 명실상부한 선진국의 반열에 올랐지만, 그 이면에 후진적인 관행과 노동자를 보호하지 않는 무책임함이 여전히 자리잡고 있다"면서 게임산업의 성장에 기여한 게임 노동자들의 노동권 보호가 후진적 수준에 머물러 있는 것을 지적했다.
그는 "경제선진국을 넘어서 노동선진국으로 발돋움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노동청은 현장에서 일하고 있는 노동자들의 목소리와 사이버불링, 직장 내 성희롱 및 성차별에 노출돼 있는 노동자들을 보호하기 위해 게임업계에 대한 근로감독을 실시해야 한다고 요청하는 1만2745명의 요구를 무시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또 "이러한 안전망에서조차 배제돼 있는 프리랜서를 위해 산업안전보건법 제41조의 보호 범위를 확대할 필요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