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사회서비스원지부, 어린이집 지속 운영 촉구

[뉴스클레임]
보육교사들이 노동권 사수를 위해 오는 30일부터 전면 파업에 돌입한다. 이들은 이번 파업이 공공돌봄에 몰이해한 서울시사회서비스원과 더불어 예산삭감으로 서울시사회서비스원을 위기에 빠뜨린 서울시와 서울시의회의 책임이 크다고 말했다.
공공운수노조 서울시사회서비스원지부(이하 노조)는 24일 오전 서울시청 앞에서 '서울시사회서비스원 어린이집 지속운영 촉구 및 전면파업 계획 발표 기자회견'을 열고 "서울시 공공보육의 공공성과 노동권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앞서 서울시사회서비스원은 '민간에서 서울시사회서비스원을 경쟁대상으로 인식'한다며 자치구별 수탁해지 협의를 통해 위수탁 사업을 중단하겠다고 밝혔다.
노조는 "사회서비스원의 목적이 '사회서비스 공공성 강화를 통한 품질향상을 위해, 지자체로부터 사회서비스 제공기관을 위탁바당 서비스 직접 제공'(보건복지부, <2019년 사회서비스원 시범사업 추진계획>)한다는 것에 비춰본다면 서울시사회서비스원의 이러한 사업방향은 사회서비스원의 공공성과 더불어 목적 자체를 부정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또 "올해 송파든든어린이집을 민간으로 넘기는 것을 시작으로 나머지 어린이집도 민간에 넘기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공공돌봄을 받고 있던 수백명의 아이들이 잘못된 어른들의 판단으로 공공돌봄에 민간으로 넘어가게 되는 것"이라며 "이러한 정책기조는 아이들뿐만 아니라 서울시사회서비스원에서 일하는 보육교사들에게도 치명적이다. 일터를 없애면서 서울시사회서비스원은 보육교사들에 대해 제대로 된 대책도 없다"고 지적했다.
공공운수노조 서울시사회서비스지부 오대희 지부장은 "서울시사회서비스원 돌봄노동자에겐 공적 돌봄을 위해 최상의 서비스를 요구하면서 돌봄노동자들의 권리가 담긴 단협과 처우에 대해선 역행하고 있는지 따져물어야겠다"고 말했다.
그는 "무시 당하는 대한민국의 공공돌봄 현실에, 모든 돌봄노동자들의 자존심과 돌봄노동 전문성이 제대로 존중받고 공공돌봄을 사수하기 위해 투쟁할 것"이라며 "서울시사회서비스원은 단체협약 해지, 어린이집 운영종료 추진을 당장 철회하고 서울시민, 노동자들이 존엄하게 살 권리를 보장하라. 공청회를 즉시 개최해 대화에 나서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주요기사
- "노동권 사수, 전면파업 돌입"[서울시사회서비스원 어린이집 지속운영 촉구]
- "망언에 유족·택시노동자들은 절망… 오세훈 시장 자격 없어"
- [잡채기 칼럼] 중국인의 ‘범죄 인식’
- '지금이라도 막아야 합니다'[포착]
- "일본산 수산물 수입금지" 대학생 서명 대통령실에 전달
- 대신증권, 변동성 증시 대응 투자전략 소개
- 민변·참여연대 "해병대 수사 외압 의혹 尹대통령 등 고발"
- 한미사이언스, 주주가치 제고 자사주 33만주 매입
- JW중외제약, 테라젝아시아와 마이크로니들 탈모치료제 공동연구 협약 체결
- 오뚜기, '행복작당 2023'서 식문화 도구 전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