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노조 등 감염병 대응 공공병원 회복기 지원 예산 촉구
내달 8일 국회 앞 결이대회 시작으로 투쟁 전개 계획

[뉴스클레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기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지켜낸 감염병 전담병원이 1년이 넘도록 운영 상황이 회복되지 않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 동안 병원을 옮긴 환자들은 돌아오지 않고 의료진은 떠나가고 있다. 방치가 계속되면 다른 감염병 위기가 닥쳤을 때 국민의 건강과 생명을 지킬 수 있는 의료체계는 붕괴할 것이라는 목소리도 나온다.
좋은공공병원만들기운동본부,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이하 보건의료노조)은 3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오늘을 시작으로 감염병 대응 공공병원의 회복기 지원 확대 및 공공의료 강화를 위한 전면 투쟁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내달 8일 국회 앞 결의대회를 시작으로 농성투쟁 등 다양한 방식을 통해 2024년 회복기 지원 확대 및 공공의료 역량 강화 예산을 확보하기 위한 투쟁을 전개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보건의료노조 등은 "가장 시급하게 감염병 대응 공공병원에 대한 회복기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 지방의료원 재정 악화에 따른 공공의료사업 축소 및 향후 발생 가능한 신종 감염병 등 의료재난 사태에 소극적 대응이 이뤄지지 않도록 적어도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돌아가는데 필요한 회복기 지원을 전면 확대해야 한다"며 최소 3500억원 이상이 2024년 정부 예산에 증액 편성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공공병원의 역량을 높여내고,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방안도 적극 마련돼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이들은 "지역필수의료의 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공공병원을 중심으로 지역책임의료기관을 더욱 육성하는 한편, 그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 이를 위해 공공병원의 의사부족 문제 해결, 간호인력 부족 문제 등을 해결해 양질의 의료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공공병원에 대한 정책적 지원을 더욱 확대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또 "지역거점병원 공공성 강화 사업 예산도 전년 수준으로라도 증액 편성해야 한다. 공공병원의 역량강화 시범사업 등 공공병원의 기능과 역할을 강화하기 위한 예산과, 감염병 대응과 같이 공익적 비용에 대한 적정한 보상방안도 마련돼야 한다"고 요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