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2024년 3.8 여성파업 조직위원회 출범
성별임금격차 해소, 돌봄 공공성 강화 등 요구

1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 계단 앞에서 열린 '2024년 3.8 여성파업 조직위원회 출범 기자회견'. 한국여성노동자회 제공
1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 계단 앞에서 열린 '2024년 3.8 여성파업 조직위원회 출범 기자회견'. 한국여성노동자회 제공

[뉴스클레임]

여성단체들이 여성노동자들의 노동권이 후퇴하고 역행하는 현실에 맞서 '2024 여성파업조직위원회'를 출범시켰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서울사회서비스원지부,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서울지역공공서비스지부, 전국여성노동조합, 한국여성노동자회, 인권운동네트워크 바람 등 20개 단체는 1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 계단 앞에서 '2024년 3.8 여성파업 조직위원회 기자회견'을 열고 "여성노동자를 쥐어짜고 굴욕하고 살해하는 이 현실을 여성파업으로 박살내고자 한다"고 선포했다.

이들이 말한 여성파업 5대 요구안은 ▲성별임금격차 해소 ▲돌봄 공공성 강화 ▲일하는 모두늬 노동권 보장 ▲임신중지에 건강보험 적용 유산 유도제 도입 ▲최저임금 인상이다.

단체들은 "살아서 퇴근하지 못하는 여성노동자가 지금도 수두룩하다. 노동자계급 장애여성과 이주여성, 성소수자와 청소년을 비롯한 소수자의 삶은 더욱 불안하다. 그러나 윤석열 대통령은 그도안 성평등 정책을 심각하게 후퇴시켰고, 여성가족부는 2023년 주요 업무 추진계획에서 ‘성평등한 사회 실현’을 주요 목표에서 삭제했다"고 비판했다.

또 "낙태죄가 폐지된 지 3년이 가까워오는데도 임신중지 건강보험 적용이나 유산유도제 도입은 외면하고 있다. 교육부와 문화체육부 등 전 부처와 지자체 역시 성평등 정책 개악에 팔을 걷어붙였다. 결과적으로 이 같은 윤 정권의 백래시는 여성 노동자와 노동자계급 전체의 삶을 지독하게 짓누르고 있다"고 주장했다.

발언에 나선 서울여성노동자회 오름 활동가는 '고용평등상담실'을 일방적으로 폐지하려는 정부를 규탄하기 위해 기자회견 자리에 나섰다고 말했다.

그는 "정부는 24년간 함께 사업을 기획하고 운영한 사업파트너 단체들에게 어떠한 설명도, 의견 청취도 없이 일방적으로 사업을 폐기했다. 고용평등상담실 뿐만 아니라 성폭력피해자, 청소년, 외국인 노동자 등 사회적 약자를 위한 예산을 2024년에 폐기 및 대폭 삭감했다. 이명박근혜 정부에서도 살아남았던 민간 고용평등상담실을 윤석열 검찰 독재 정부가 한 순간에 지워버리고 있다"고 토로했다.

이어 "상담실을 폐지한다는 것은 정부가 여성노동의 현실을 외면하고 정책을 포기한다는 것에 다름 아니다"라며 "여성노동자의 현실을 알려내고 2024년 정부예산에서, 정책에서 ‘여성 지우기’에 나선 정부에 여성노동자의 단결된 힘으로 3.8 여성파업으로 강력히 경고해야 한다"고 밝혔다.

인권운동네트워크 바람 명숙 상임활동가는 "우리는 평등한 세상을 원한다. 이에 여성파업은 성차별과 노동착취가 없는 세상을 위해 노동을 멈추는 것이다. 독박육아 등 여성에게 강요되는 돌봄노동으로 몸과 마음이 신음하지를 않기 위해 지금의 체제를 멈추려고 한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정부와 기업은 여성의 날을 맞이해 준비하는 여성파업에 대해 얼마나 우호적일지 모르겠다. 어떤 방해와 공격을 할지 모르지만 우리는 일을 멈추고 함께 여성의 힘을 보여줄 것이다. 멈춤으로서 이 체제가 누구에 의해서 돌아가고 있는지를 명확히  보여줄 것"라고 힘주어 말했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