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공공교통 다크투어 기자회견
공공운수노조 등 "다크투어 통해 진상규명, 책임자 처벌 등 촉구"

7일 오전 서울 광진구 구의역에서 열린 '공공교통 다크 투어 기자회견'. 공공운수노조 제공
7일 오전 서울 광진구 구의역에서 열린 '공공교통 다크 투어 기자회견'. 공공운수노조 제공

[뉴스클레임]

시민 안전을 지키기 위한 서울교통공사 노동조합의 파업을 앞두고 시민사회단체가 '공공교통 다크투어'를 진행했다. 서울시와 서울교통공사의 안전인력 감축 저지와 공공교통 안전에 대한 직접 목소리를 내기 위함이다. 

공공운수노조, 시민사회공동행동, 10·29 이태원 참사 유가족 협의회,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공공교통네트워크, 서울교통공사노동조합 등은 7일 오전 서울지하철 2호선 구의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우리는 안전하고 평등한 공공교통을 원한다. 시민안전을 해치는 인력 감축을 중단하고, 평등하고 안전한 공공교통을 보장하라"고 촉구했다.

이날 단체들은 '안전하고 평등한 공공교통'을 강조하며 다크투어 일정과 취지를 설명했다. 이번 공공교통 다크투어는 2016년 스크린도어를 수리하다가 하청 노동자 김군이 숨진 구의역 9-4 승강장에서 시작된다. 이어 신당역, 이태원역, 신길역으로 이어진다. 

이들은 특히 안전과 담쌓고 거꾸로 가겠다는 윤석열 대통령과 오세훈 시장의 정책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말했다.

공공운수노조 등은 "구의역, 신당역, 이태원, 오송지하차도 등 참사들이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 모두 수많은 시민들이 이용하는 공공교통 등 다중이용 시설에서 발생한 중대재해였다. 공공의 안전을 책임져야 할 주체인 중앙정부와 지방정부는 반성도 없이 책임을 면하기에 급급한 모습을 보여줬다"고 지적했다.

또 윤석열 정부는 공공서비스축소 정책 추진에 따라 철도 및 도시철도에 대한 구조조정 및 민영화 계획을 일방적으로 발표하고 있다. 이에 호응하듯 서울시는 지난달 경영합리화를 위해 2026년까지 직원 2212명을 감축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공공교통의 안전을 포기하고, 시민과 노동자를 위험으로 내몰겠다는 의지로 볼 수밖에 없다"고 비판했다.

발언에 나선 윤문상 서울교통공사노조 노동안전국장은 "지하철 안전이 구조조정과 연결되면 시민과 노동자의 안전이 불쾌해진다"며 "공사와 서울시는 정부 지원을 통해 재정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예산을 확보해야 한다. 시민과 노동자의 안전에 도움이 안 되는 인력 구조조정, 위험의 외주화 등 행태는 즉각 중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