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노조 광주전남지부 "공공의료에 투입된 비용, 광주시가 감당해야"

11일 오전 광주광역시청 앞에서 열린 '광주시립제2요양병원 폐업 위기, 공공의료 포기, 강기정 광주시장 규탄 기자회견'
11일 오전 광주광역시청 앞에서 열린 '광주시립제2요양병원 폐업 위기, 공공의료 포기, 강기정 광주시장 규탄 기자회견'

[뉴스클레임]

전국보건의료노동조합(이하 보건의료노조) 광주전남지부가 강기정 광주시장을 규탄하며 폐업 위기에 처한 시립제2요양병원을 광주시가 직접 운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보건의료노조 광주전남지부는 11일 오전 광주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공공의료는 시민의 권리이기에 공공의료에 투입된 정당한 비용은 광주시가 당연히 감당해야 한다. 광주시의 공공의료에 대한 입장 변화 없이는 공공병원 폐업 사태의 책임를 피해갈 수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노조에 따르면 광주시는 지난달 20일 전남대병원에 광주시립제2요양병원 위·수탁 계약 종료를 통보하고 오는 15일까지 환자들을 전원 조치하라고 했다. 

노조는 "설마했던 광주시립제2요양병원의 폐업이 초읽기에 들어갔다"며 "공공병원에 대한 광주시의 무책임하고 충격적인 모습에 할 말을 잃었다. 환자의 생명과 안전은 안중에 없다는 광주시 건강정책과장은 시민들에게 사죄하고 사퇴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현재의 근무인력과 근무조건을 유지하면 환자,보호자들의 만족도는 높을 수 있으나 병원은 적자가 발생한다. 따라서 민간의료재단이 공공병원 수탁기관으로 참여하지 않으려고 하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는 것"이라며 "광주시립제2요양병원 폐업 위기의 본질은 공익 적자를 운영 재단과 노동자들의 희생만으로 해결한 채 광주시의 부담은 최소화하려는 광주시의 그릇된 보건의료 정책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노조는 "광주시립제2요양병원 폐업위기를 막고 공공병원을 정상화하는 것은 광주시의 의지에 달려있다. 공공병원 적자의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없는 환경에서 ‘공익적자’를 광주시가 대부분 부담하거나 공공병원을 직영체제로 전환하는 수밖에 없다"며 "공공의료에 투입된 정당한 비용은 광주시가 감당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