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일본 내 농수축산물 방사능 오염 조사 발표
일본 내 전체 농수축산 식품 중 7.9%서 방사성 물질 세슘137 검출

[뉴스클레임]
후쿠시마 핵발전소 사고가 일어난 지 13년이 지났다. 하지만 여전히 사고는 수습되지 않았고, 일본산 농수축산물에서의 방사성 오염은 여전한 상황이다. 지난해 일본 후쿠시마 원전 앞 바다에서 잡힌 수산물에서는 기준치 108배가 넘는 방사성 물질 세슘이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운동연합은 오염수 해양 투기로 인한 오염의 증가가 우려되는 상황을 고려해 지속적으로 이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환경운동연합은 24일 오전 서울 종로구 환경운동연합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023년 일본산 농수축산물 방사능 오염 실태 분석 보고서'를 발표했다.
일본 정부는 지난해 총 4만5759건의 농수축산 식품을 대상으로 방사성물질 세슘에 대한 검사를 진행해 발표했다.
종류별 방사능 검사 결과를 보면 ▲수산물 4.0% ▲농산물 13.6% ▲축산물 1.0% ▲야생육 36.7% ▲가공식품 4.4% 비율로 방사성물질이 검출됐다.
도쿄전력이 발표한 후쿠시마 1원전 항만 내 물고기 방사성 물질 검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6월에 잡힌 조피볼락에서는 기준치 180배가 넘는 1만8000Bq/kg 세슘이 검출됐다. 12월에는 노래미에서 노래미에서 400Bq/kg, 가자미류 540Bq/kg의 세슘이 나왔다.
환경운동연합은 "일본 정부는 이런 오염에도 불구하고 방사성 오염수 해양투기를 강행하고 있다. 강행하는 동안의 방사능 모니터링 주기도 줄였다"고 지적했다.
이어 "오염수를 물로 희석해 버린다고 해도 버려지는 방사성 물질의 총량을 변하기 않는다. 오염수 해양 투기로 인한 수산물 오염이 어떻게 진행될 지 알 수 없어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일본산 수산물 수입금지 지역 수산물의 방사성물질 검출률이 4.2%로 수입 허용 지역 0.2%보다 약 21배 높게 나와 여전히 수입금지 지역의 세슘 검출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운동연합은 "수산물에서 세슘이 검출되는 비율은 줄어들었으나 후쿠시마 현의 해수어에서 기준치 이상의 세슘이 검출되고 있다"며 "여전히 수입금지 지역과 그 외 지역에서의 세슘 검출률에 큰 차이가 있어 후쿠시마 현을 포함한 8개현의 수산물 수입금지 조치는 지속돼야 한다"고 밝혔다.
우리 정부를 향해선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인한 방사성 오염 상황이 지속되고 있는 현실을 근거로 이를 악화시킬 수 있는 오염수 해양투기 중단을 요구하고 이를 막기 위해 국제해양법 재판소 제소, 일본산 수산수입금지 조치 강화 등을 적극 검토하고 추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주요기사
- 전장연, 이재명·조국에 면담 촉구… "장애인권리입법 제정하라"
- [잡채기 칼럼] ‘질병 귀신’의 충고
- '여전한 후쿠시마 핵발전소 사고'[일본산 농수축산물 방사능 오염 실태]
- 국힘 "민주, 밀린 숙제하듯 법안 날치기 처리해선 안돼"
- 공무직 노동자 10명 중 4명 '월급 200만원 미만'
- SK네트웍스, 美 실리콘밸리에 AI 랩 설립
- 최성환 SK네트웍스 사장, SK네트웍스·SK㈜ 주식 매도
- [내일 날씨] 비 그친 목요일, 대체로 맑지만 곳곳 짙은 안개… 낮 기온 경상권 중심 25도 이상
- [오늘 날씨] 전국 맑고 서해안·중부내륙 중심 짙은 안개… 아침 최저기온 6~13도, 낮 최고 18~27도
- LG유플러스-부산신항만주식회사, '무위험 환경 조성 사업' 업무협약
- LH, 신축매입임대 1만호 추가 매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