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석탄발전 위한 초고압 송전선로 건설 반대

16일 오전 강원도청 앞에서 열린 '강원도 석탄발전 위한 초고압 송전선로 건설 반대 기자회견'. 사진=환경운동연합
16일 오전 강원도청 앞에서 열린 '강원도 석탄발전 위한 초고압 송전선로 건설 반대 기자회견'. 사진=환경운동연합

[뉴스클레임]

동해안~신가평 500kV 송전선로 사업에 대한 전원개발사업 승인 취소를 요구하는 행정소송의 변론일을 맞아 환경단체들이 강원도청 앞에 모였다. 이들은 강원도 석탄발전소를 위한 500kV 초고압 송전선로 건설사업 취소와 탈석탄을 촉구하며 ▲송전선로 건설과정의 민주적 절차와 제도개선 ▲수도권 전력 공급을 위한 석탄발전소 폐쇄 ▲탈석탄 이행과 적극적인 기후위기 대응 ▲에너지 수요처인 수도권의 재생에너지 적극 확대 등을 요구했다. 

홍천군송전탑반대대책위원회, 삼척석탄발전소반대투쟁위원회, 강원환경운동연합, 환경운동연합, 석탄을넘어서 등은 16일 오전 강원도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강원도 석탄발전을 위한 500kV 초고압 송전선로 건설을 백지화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환경운동연합에 따르면 현재 삼척블루파워, 강릉안인을 비롯한 동해안 지역의 대규모 발전력의 수도권 수송을 위한 동해안~수도권 500kV HVDC 송전선로 건설사업은 2025~2026년까지 완공을 목표로 입지선정 등 행정적인 절차가 완료됐다.

과거 신울진~신가평 765kV 송전선로 계획이 500kV HVDC 송전선로로 변경되는 과정에서 경과대역 선정이 기존 계획을 수정하지 않은 점, 입지선정위의 위법적 운영, 주민안전권의 배제 등의 이유로 강원송전탑반대대책위원회, 강원환경운동연합은 전원개발사업 실시계획 취소 행정소송을 제기한 상태다. 

이들 단체는 "애초에 과도한 전력사용 추정을 근거로 기후위기 대응에 역행하는, 대기업의 주머니만 불리는 신규민자석탄화력발전소를 추진하지 말았어야 했다"며 "엄청난 양의 온실가스 배출로 기후위기 대응을 한 발자국 늦춰버릴 석탄발전소의 건설과 운영은 국제적 흐름에 역행하는 정책 결정"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서 당장 동해안의 석탄발전소를 폐쇄하고 전력 수요처인 수도권 지역의 적극적인 재생에너지 확대와 이를 위한 계통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날 발언에 나선 경남환경운동연합 정진영 국장은 “수도권 전력사용을 위해 강원도에서 벌어지는 전력 식민지화는 대한민국 지방의 모습을 예견하고 있다"면서 “전력다소비기업을 지방으로 집중시키는 전력식민지화가 아닌 기후위기 시대 에너지 대전환이라는 시대적 소명을 공공성과 민주주의의 원칙으로 달성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인천환경운동연합 이충현 팀장은 “발전소를 눈에 닿지 않은 곳에 지은 다음 그로 인한 피해는 전력공급지에서 감당하고 그 사이 지역은 송전선로로 인해 고통을 받는다. 전력소비지에서는 생산된 전기만을 누리는 모양새가 익숙하다”며 석탄발전소로 인한 지역불평등과 기후부정의를 해결하기 위해서는석탄발전소를 폐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