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임금 정액 인상 쟁취' 공무원노동조합 2차 결의대회

[뉴스클레임]
22일 공무원보수위원회 3차 전체회의일에 맞춰 '공무원 임금 정액 인상 쟁취' 공무원노동조합 2차 결의대회가 진행됐다.
대한민국공무원노동조합총연맹(이하 공노총)은 이날 오후 정부서울청사 후문 일대에서 결의대회를 열고 "그간 정부와 진행한 2차례 전체회의와 6차례 소위원회에서 정액인상의 필요성을 설명했지만, 정부는 정액 인상보다는 정률 인상에 뜻을 굽히지 않았다"고 밝혔다.
앞서 공노총은 지난 6월부터 협상테이블에서 정액인상의 필요성을 설명했지만 정부의 계속되는 반대로 이견을 좁히지 못하자 2025년 공무원보수위에 정액인상 추진을 위한 '노·정 공동연구회'를 구성·운영하는 것을 제시한 상태다.
또한 9급 1호봉 공무원의 생활여건 보장을 위해 임금을 올해 수준 이상으로 인상하는 것에 정부가 노력한다는 내용을 3차 전체회의에서 결정한다면 올해는 정액 인상이 아닌 정률인상으로 양보한다는 입장을 밝히며 5급 이상 3.1%, 6급 이하 4.8% 인상안을 공무원보수위원회에 제시했다.
공노총은 "우리는 '1보 후퇴, 2보 전진'의 자세로 단서 조항을 정부가 수용한다면 올해는 정률인상을 하겠다는 입장과 함께 수정 인상안을 제시했다"면서 "이제 공은 정부로 넘어갔다. 정부가 공무원 노동자의 대승적 양보안을 무시하면 그로 인한 모든 책임은 정부에 있다는 것을 분명히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정부에 노조측 수정 요구안에 대한 즉각적인 수용을 촉구하는 목소리도 이어졌다.
이들은 "이중·삼중으로 밀려오는 업무 폭탄과 악성 민원에 시달리면서도 박봉 중의 박봉인 현실에 청년들이 공직사회에 등을 돌렸다. 인터넷만 봐도 공무원 '누칼협?'보다 '누가해?'라는 말이 더 많아 보이는 웃지도, 울지도 못하는 현실이다"라고 호소했다.
이어 "청년층의 급속한 이탈은 행정서비스 감소로 이어지고, 이는 국민 불편으로 이어진다. 이에 정부는 청년층의 이탈을 막을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면서 "그 대책은 이미 공무원보수위에 요구했고, 정부는 이를 수용만 하면 된다. 청년층의 공직사회 이탈을 두고 보지 말고 공무원보수위 요구사항을 수용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