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인권센터, 중대장·유족 간 녹취 공개
'얼차려 사망' 중대장, 유족에 거짓 해명 의혹

[뉴스클레임]
훈련병에게 군기 훈련을 지시해 사망에 이르게 한 혐의를 받는 육군 12사단 신병교육대 중대장이 사고 발생 당시 유가족에게 상황을 거짓으로 축소해 설명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군인권센터는 24일 서울 마포구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박태인 훈련병이 쓰러진 후 다음 날인 지난 5월 24일 유가족과 A씨 사이 이뤄진 대화 녹취 파일을 공개했다.
녹취에 따르면 연병장을 몇 바퀴 돌게 했냐는 유가족의 질문에 중대장 A씨는 "제가 지시한 것은 세바퀴였다"며 "두 바퀴를 돌다가 세 바퀴 돌 때쯤, 그러니까 한 바퀴, 두 바퀴 뛰고 세 바퀴를 한 50m 정도 갔을 때 쓰러졌다"고 답했다.
이에 유가족은 "빠른 속도로 선착순처럼 돌렸나"라고 묻었고 A씨는 "아니다. 쓰러질 당시에 선착순 이런 걸 시키지 않았고 딱 세 바퀴만 열을 맞춰, 제대로 맞춰서 같이 뛰어라, 이렇게 얘기했다. 속도 같은 거는 통제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러나 조사 결과 A씨는 박 훈련병에게 선착순 뛰기는 물론, 완전군장 하 팔굽혀펴기 등 가혹한 얼차려를 지시한 것으로 파악됐다.
군인권센터는 "적어도 중대장은 유가족에게 상황 설명을 한 시점까지는 자신의 가해 사실을 숨기고 축소 진술했을 것"이라며 "유가족 앞에서까지 스스럼없이 거짓말을 한 것으로 보아 사고 발생 직후 소대장이나 군의관에게 가해 사실을 소상히 얘기했을 가능성은 낮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러한 중대장의 거짓말은 군의관에게도 똑같이 전달됐을 것이다. 군의관은 왜곡된 정보를 바탕으로 국군의무사령부 의료종합상황센터에 환자 상황을 보고해 후송 지침을 하달 받았을 것이다. 이어 속초의료원 의사, 강릉아산병원 의사에게도 왜곡된 정보에 근거해 환자 발생 상황을 알려줬을 것"이라고 말했다.
군인권센터는 "중대장의 거짓말로 인해 왜곡된 사실만 의료 체계를 따라 전달됨으로써 의료인들이 과도한 신체활동으로 열사병이 발생했을 것이라 짐작하기 보다는, 날씨가 더워서 쓰러졌다고 오인할 여지를 남겨둔 것"이라며 "이는 의료인들의 판단에 혼선을 주기에 충분하고, 헬기를 띄우지 않는 등 후송이 안이하게 이뤄진 주요한 원인 중 하나로 작용했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중대장은 유가족을 기만하면서까지 자기 죄를 숨기려고 했을 뿐 아니라 그 결과로 의료인의 판단에 혼선을 빚고 초기 환자 후송에 악영향을 주는 등 훈련병의 사망에 여러 영향 요인을 끼친 바 있다. 반드시 중형으로 벌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