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 2023년 식중독 발생현황 분석… 9월 1590명
지난해 음식점에서 200건으로 가장 많이 발생

[뉴스클레임]
지난해 식중독 발생 건수가 코로나19 유행 시기(2020~2022년)보다 1.5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는 '2023년 식중독 발생 현황' 분석 결과, 지난해 식중독 발생 건수는 359건, 환자수는 8789명으로 나타났다고 22일 밝혔습니다.
코로나19 유행 시기와 비교했을 때 평균 발생 건수는 약 1.5배, 환자수는 약 2배 이상 많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코로나19 유행 기간에는 손 씻기 등 개인위생 관리를 철저히 하고 외부 활동이 감소하면서 식중독 발생 건수가 역대 최저 수준이었습니다. 코로나 엔데믹 이후 사회적 거리두기가 완화하면서 지난해 식중독 발생 건수는 코로나19 이전 수준만큼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식중독은 7~9월에 집중됐고, 9월에 가장 많이 발생했습니다.
지난해 월별 식중독 발생 추이를 보면, 기온이 높은 여름철에 121건(33.7%)이 발생했습니다. 9월에는 43건(환자수 1590명)으로 가장 많이 발생했습니다.
식약처는 폭염이 지속되는 7, 8월에는 보관 온도 등에 유의하지만 9월 낮에는 식중독이 발생할 만큼 기온이 상승하는 반면, 아침과 저녁에는 다소 선선한 날씨로 인해 음식점 등에서 상온에 식품을 보관하는 등 부주의해 식중독이 많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지난해 식중독이 가장 많이 발생한 시설은 음식점(200건, 3526명)이었습니다. 이어 학교 외 집단급식소 47건, 학교 21건 순으로 발생했습니다.
야외 활동 증가로 인해 음식점 등에서 조리한 도시락, 대량 조리 배당 음식에 의한 식중독 발생(22건, 2097명)도 증가했습니다. 예식장 등 뷔페(20건, 638명)에서도 식중독이 많이 발생했습니다.
지난해 발생한 식중독의 원인 병원체는 노로바이러스 62건, 살모넬라 48건, 병원성대장균 46건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지역별 인구수를 감안한 인구 100만명당 식중독 환자수는 광주광역시가 635명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이어 강원특별자치도 330명, 충청북도 326명 순이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