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의 날'에 부친 에너지정의행동 논평 발표
"산업계 휴가 조정 등 산업 부문 전력 수요 감축 필요"

[뉴스클레임]
매년 8월 22일은 '에너지의 날'이다. 에너지의 중요성과 화석연료의 과다 사용으로 인한 지구온난화 문제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전 국민의 에너지 절약 동참을 촉구하기 위한 날이다.
에너지의 날을 맞아 에너지정의행동은 논평을 내고 "폭염으로 다가온 기후위기와 점점 늘어나는 전력수요에 적극적인 수요 관리와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한 전환의 날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목소리를 냈다.
이들은 "어느덧 에어컨이 없는 여름을 상상할 수 없는 시대가 됏다. 한쪽에서는 전력수요 증가를 우려하지만, 여전히 우리 사회에는 에너지 사각지대가 존재한다"며 "전력수요 감축을 위한 노력과 함께 우리가 놓쳐서는 안되는 것이 바로 에너지기본권이며, 폭염 재난으로부터 안전한 삶이다"라고 밝혔다.
이어 "기후변화로 인한 폭염이 연일 기승부리고 있고, 전력수요는 계속 치솟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전력수요를 줄이려는 적극적이고 근본적인 대책은 없이 전력수요에 안정적으로 대처하고 있다는 말만 되풀이하면서 시민들의 에너지절약에만 기대고 있다"고 비판했다.
실제 산업통상자원분에 따르면 20일 오후 5시 잠정 기준 최대전력수요는 97.1GW, 예비력은 8.2GW(예비율 8.5%)를 기록했다.
에너지정의행동은 "전력수요를 줄이는 가장 빠른 방법은 전력수요가 많은 곳의 수요를 줄이는 것"이라며 "당연히 산업 분야의 전력수요를 줄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한국의 경우 고온다습한 여름철과 전력피크 기간이 겹치는 사실에 착목해 제조업의 집단 휴가나 대규모 사업장 간의 휴가 순번제 등을 고려해 볼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 "전력 부하 관리에 태양광 발전을 적극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며 "현재 정부 정책은 태양광 발전의 기여도를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다. 오히려 한빛 1,2호기 수명연장이 추진되는 호남권에서는 전력망 부족이라는 이유로 2031년까지 7년간 태양광 발전허가를 중단하기로 했다. 태양광발전 출력제어도 빈번하게 발생하는 등 거꾸로 하는 정책이 횡횡하다"고 꼬집었다.
이들은 "에너지의 날, 시민들이 소등에 참여하는 마음은 지금의 기후위기를 늦추고자 하는 간절함이다. 그런데도 정부는 여전히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라는 말 뒤에 숨어서 산업을 위한 전력수요를 계속 늘리고 핵발전과 석탄발전을 늘리는 정책을 강행하고 있다"며 "기후위기와 점점 늘어나는 전력수요에 적극적인 수요 관리와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한 전환의 날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촉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