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대노총 등 "베를린 소녀상 철거 안 돼"

11일 오전 서울 중구 주한독일대사관 앞에서 열린 '평화의 소녀상 ARI 지키자, 한국-독일 노동자 공동성명 발표 기자회견'. 사진=박명규 기자
11일 오전 서울 중구 주한독일대사관 앞에서 열린 '평화의 소녀상 ARI 지키자, 한국-독일 노동자 공동성명 발표 기자회견'. 사진=박명규 기자

[뉴스클레임]

독일 베를린에 설치된 일본군 ‘위안부’ 피해를 상징하는 평화의 소녀상 ‘아리(ARI)’가 철거 위기에 내몰리자, 한국·독일 노동자들이 '아리(ARI)'의 존치를 촉구하고 나섰다.

민주노총, 한국노총, 독일노총(DGB) 베를린브란덴부르크지역본부 등은 11일 오전 서울 중구 주한독일대사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ARI’는 역사정의의 상징이자, 평화와 인권을 위한 전세계 연대의 표현이다. 한국과 독일의 모든 노동자는 ‘ARI’의 존치를 다시 한 번 촉구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ARI’는 전시 성폭력을 비롯한 모든 성폭력 피해자를 상징하고 있으며, 과거를 통해 성찰하고 '평화와 인권'을 지키자는 호소"라며 "지구상에서 벌어지는 모든 갈등과 대립을 반대하고, 평화를 지키기 위해 실천하며, 전세계 모든 사람들의 보편적 인권을 존중하자는 약속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ARI’의 현재적 의미와 함께, ‘ARI’와 연대하고자 했던 미테구 시민들의 뜻이 존중받지 못한다는 사실에 깊은 유감을 표한다. ‘ARI’의 존치 및 전세계의 평화와 인권을 위한 연대와 실천을 다짐한다"고 밝혔다.

한국노총 정연실 상임부위원장은 "‘ARI'가 철거의 위험 앞에 놓여 있다. 가장 큰 문제는 전쟁범죄 역사를 결코 인정하지 않으려는 일본 정부의 의도된 압력 때문"이라며 “과거사 부정과 역사 왜곡이 평화의 소녀상 철거로 이어지고 있다”고 비판했다.

특히 "독일 정부는 ARI아리의 존치를 촉구하는 한국-독일 노동자의 의지를 적극 수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평화의 소녀상 ‘아리(ARI)’ 존치를 위해 투쟁하고 있는 한독 시민단체인 코리아협의회는 “가해국이 허락한 추모, 가해국이 인정한 기념비만이 진짜 추모, 진짜 기념비로 여겨지는 세상이라면, 소녀상이 계속 그 자리에 존치돼야 할 이유가 또 하나 생긴다”며 “소녀상의 존재는 가해국의 결코 반성 된 적 없는 과거를 지적하고 힘의 논리에 굴복한 세력들의 양심을 찌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평화의소녀상은 한인 커뮤니티의 독일 정착의 역사, 이주민 문화, 초국가적 여성 인권의 상징으로 계속해서 시민 사회 안에 공존해야 한다. 소녀상이 나아갈 평화와 인권을 위한 길에 많은 분들이 동참해주기를 간곡히 부탁한다"고 전했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