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민주노총 전국이주노동자대회 개최
이주노조 등 "착취 그만하고 노동허가제 도입해야"

6일 오후 서울역광장에서 열린 '2024 민주노총 전국이주노동자대회'. 사진=MTU
6일 오후 서울역광장에서 열린 '2024 민주노총 전국이주노동자대회'. 사진=MTU

[뉴스클레임]

고용허가제 20년을 맞아 전국 이주노동자들이 윤석열 정부를 규탄하며 강제노동철폐, 사업장변경 자유보장, 노동권 보장을 요구했다. 

민주노총, 이주노조 등은 6일 오후 서울역 광장에서 '전국이주노동자대회'를 열고 "한국에서 이주노동자로서 겪고 있는 문제들, 노동권 박탈, 강제노동, 노동착취, 차별 등에 이야기하고 정부에 문제해결을 촉구하고자 이 자리에 모였다"고 밝혔다.

이들은 "이주노동자 권리를 부정하는 강제노동 주범 고용허가제가 실시된 지 20년이 됐다. 그러나 윤석열 정부는 이주노동자의 권리를 후퇴시키고 사업주 권리만 강화하는 방향으로 나쁜 정책만 하고 있다"며 "사업장 변경 제한에 지역제한까지 더해서 더 많은 족쇄를 채우고 있다. 해마다 이주노동자 숫자는 늘리면서 처우와 지원, 권리는 내팽개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주노조 우다야 라이 위원장은 "정부가 실시하는 고용허가제를 비롯하여 E-2, E-6, E-7, E-8, E-10 등 거의 모든 취업비자에서 이주노동자 사업장 변경 등 기본 권리도 보장하지 않는다"며 "올해 상반기에만 전체 산재사망 17퍼센트가 이주노동자다. 임금체불 비율도 내국인에 비해 두세배 높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주노동자는 단순히 노동력을 메꿔주는 도구가 아니고 노예가 아니다. 권리 있는 노동자이고 이 사회의 일원이다"라며 "우리는 착취와 차별을 당하러, 죽으러 이 땅에 오지 않았다. 더 이상 착취하지 말고 노동허가제를 도입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날 대회에선 현장 이주노동자의 발언도 이어졌다.

제조업에서 일하는 라쉐드(방글라데시)는 "고용허가제 20년이 됐다는데 회사도 마음대로 바꿀 수 없는 노예노동, 강제노동을 하고 있다. 사장한테 우리는 사람이 아니고 돈벌어 주는 기계이다"라고 호소했다.

그는 "권리는 없고, 고장나면 그냥 버린다. 모든 이주노동자들이 마찬가지다"라며 "이주노동자들이 한국 사회에서 수갑에 채워져 묶여 있는 것 같다. 이에 우리의 권리를 위해 함께 싸울 것"이라고 말했다.

가족센터에서 통번역사로 인하는 오르나씨는 "한국정부에 묻고 싶다. 우리 이주민들의 노동이 필요한가. 그렇다면 이주민들을 싸게 부려먹을 생각하지 말고 평등하고 충분한 보상을 보장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