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오후 서울역광장에서 열린 '2024 민주노총 전국이주노동자대회'. 사진=MTU
6일 오후 서울역광장에서 열린 '2024 민주노총 전국이주노동자대회'. 사진=MTU

[뉴스클레임]

고용허가제 20년을 맞아 이주노동자가 모여 모든 이주노동자 차별철폐와 인권·노동권 보장을 촉구했다. 

6일 오후 서울역광장에서 열린 '2024 민주노총 전국이주노동자대회'. 사진=MTU
6일 오후 서울역광장에서 열린 '2024 민주노총 전국이주노동자대회'. 사진=MTU

민주노총, 이주노동자노동조합 등은 6일 오후 서울역광장에서 '2024 민주노총 전국이주노동자대회'를 개최하고 ‘권리없는 이주노동자 양산 정책’만 실시하면서 이주노동자 노동조건과 안전대책, 권리 개선은 외면하는 정부를 규탄했다. 

6일 오후 서울역광장에서 열린 '2024 민주노총 전국이주노동자대회'. 사진=MTU
6일 오후 서울역광장에서 열린 '2024 민주노총 전국이주노동자대회'. 사진=MTU
6일 오후 서울역광장에서 열린 '2024 민주노총 전국이주노동자대회'. 사진=MTU
6일 오후 서울역광장에서 열린 '2024 민주노총 전국이주노동자대회'. 사진=MTU

이들은 "2024년은 고용허가제 실시 20년이 되는 시기다. 1994년 시작한 산업연수생제도부터 지금까지 이주노동자는 임금체불, 산업재해, 열악한 숙소, 차별과 착취 속에서 기계나 노예 취급을 당하며 노동하고 있다"고 밝혔다.

6일 오후 서울역광장에서 열린 '2024 민주노총 전국이주노동자대회'. 사진=MTU
6일 오후 서울역광장에서 열린 '2024 민주노총 전국이주노동자대회'. 사진=MTU
6일 오후 서울역광장에서 열린 '2024 민주노총 전국이주노동자대회'. 사진=MTU
6일 오후 서울역광장에서 열린 '2024 민주노총 전국이주노동자대회'. 사진=MTU

이어 "윤석열 정부는 체류 지원, 상담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외국인 노동자지원센터 예산을 삭감했다. 고용허가제에서 숙련기능(E-7-4) 전환 시 해당업체에서 의무근무 기간 2년을 설정하는 등 이주노동자에게 더 족쇄를 채웠다"며 "이주노동자는 불법파견 노동 속에 안전대책, 안전교육도 없이 사각지대로 내몰리며 희생당했다"고 주장했다.

6일 오후 서울역광장에서 열린 '2024 민주노총 전국이주노동자대회'. 사진=MTU
6일 오후 서울역광장에서 열린 '2024 민주노총 전국이주노동자대회'. 사진=MTU
6일 오후 서울역광장에서 열린 '2024 민주노총 전국이주노동자대회'. 사진=MTU
6일 오후 서울역광장에서 열린 '2024 민주노총 전국이주노동자대회'. 사진=MTU

이들 단체는 "이주노동자 노동권 보장은 우리 사회 모든 노동자의 노동권을 보장하는 것이고, 우리 사회 모든 노동자의 지위 향상으로 자리매김 할 것"이라며 "이주노동자들이 자유로이 사업장을 선택할 수 있도록, 노동자로서 인간으로서 존엄을 보장받고 노동할 수 있도록 함께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