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의료원 정상화 위한 부산시 역할 촉구
"'공공의료강화를 통한 시민건강도시 조성' 약속 지켜야"

[뉴스클레임]
부산 시민사회단체가 공공의료를 살리기 위한 부산의료원 정상화를 촉구했다.
부산참여연대, 부산경실련, 사회복지연대, 보건의료노조 부산본부 등은 4일 오전 부산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부산의료원 정상화 없는 '부산 공공의료벨트 구축'은 없다. 참담한 심정으로 ‘공공의료 살리기’ 공동행동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앞서 박형준 시장은 올해 초 2024년 부산시 주요시책 '공공의료강화를 통한 시민건강도시 조성'을 발표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세부과제로 ▲공공의료 협력체계강화, 필수의료·응급의료체계 강화를 통한 시민 안심 의료서비스 체계 구축 ▲의료인력 확보 대응으로 지역완결적 의료환경 조성 ▲감염병 관리 강화로 시민 건강 보호를 제시했다.
이들 단체는 "과연 약속한 공공의료강화를 통한 시민건강도시가 조성됐나. 부산 유일한 공공병원 부산의료원의 병상가동률은 전국 최하위 수준이고, 의료취약계층을 위한 공공의료사업은 폐지됐다"며 "현실은 공공의료강화가 아닌 공공의료약화, 시민건강도시가 아닌 시민건강불안도시로 변해가고 있다. 부산시의 시민을 위한 공공의료 정책수행은 낙제점을 받아 마땅하다"고 꼬집었다.
무엇보다 "2025년은 ‘부산 공공의료벨트’구축의 골든타임이다. 현재와 같은 부산시의 ‘방치하는 공공의료’정책으로는 부산시민의 건강권 향상을 위한 ‘부산 공공의료벨트’를 구축할 수 없다"면서 "1개의 공공병원도 제대로 운영정상화 하지 못하는 부산시가 어떻게 3개의 좋은 공공병원을 정상적으로 운영할 수 있단 말인가"라고 물었다.
이들은 ‘부산의료원 정상화’, ‘공공의료 강화’를 위한 1차 공동행동에 돌입하고, 특히 , 부산의료원 행정사무감사가 개최되는 오는 6일 대규모 집중선전전을 개최한다고 선포했다. 오는 26일에는 '부산의료원 정상화를 위한 1차 부산시민사회 집중집회'를 개최한다.
이날 발언에 나선 양미숙 부산참여연대 사무처장은 “현재 부산의료원은 코로나 전담병원 역할 수행에 따른 여파로 심각한 재정적자와 최악의 경영난을 겪고 있다. 의료진은 이탈하고 진료인력 수급도 제 때에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병상가동률은 40%에 불과해 전국 지방의료원 중 꼴지 수준인데도 부산시는 올해초 본예산 60억만 책정하지 않고, 시의회가 비상경영 경영혁신을 요구하며 54억의 1차 추경에 그쳤다"면서 "의료진 수급과 관련한 대책은 전무했고 지역의료협력체계 구축엔 손을 놓았다"고 말했다.
이어 "부산시의 무책임하고 안일한 대응으로 부산의료원의 병원기능 회복은 전국 35개 지방의료원중 34위에 머물러 있다. 부산지역의 필수 공공의료를 위해서 부산시가 재정적인 부분을 전적으로 책임지고 지원해야 한다. 부산시민의 세금이 이런곳에 쓰여야 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성한 사회복지연대 사무처장도 "부산의료원부터 살려내야 침례병원도 공공병원으로 만들어내고 서부산의료원도 공공병원으로 제대로 만들 수 있다"면서 "부산시는 시민사회가 제안하는 의견들을 적극 수렴해 예산과 정책 수립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