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원, 어묵 품질비교 결과 발표
"어묵, 나트륨 함량 높아"

[뉴스클레임]
겨울철 대표적인 음식 중 하나인 어묵. 그러나 어묵을 국이나 탕으로 조리해 국물까지 섭취하는 경우 나트륨을 과다 섭취할 가능성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소비자원은 어묵의 품질, 안전성 등을 시험하고 표시실태 및 가격 등을 조사했다고 14일 밝혔습니다.
조사 대상 제품은 사각어묵 6개, 모듬어묵 6개입니다.
시험 결과, 어묵은 1일 영양성분 기준치 대비 단백질 함량은 높으나 나트륨 함량 또한 많아 섭취에 주의가 필요했습니다.
구체적으로 조사대상 어묵 100g 기준 단백질은 8g~14g(1일 영양성분 기준치 대비 15%~25%), 탄수화물 14g~32g(4%~10%), 지방 1.7g~5.8g(3%~11%), 포화지방 0.2g~1.0g(1%~7%)으로 1일 영양성분 기준치 대비 단백질 함량은 상대적으로 높고 탄수화물, 지방, 포화지방 함량은 낮았습니다.
조사대상 어묵 100g 기준 나트륨 함량은 689㎎~983㎎(1일 영양성분 기준치의 34%~49%)으로, 어묵 100g 분량(사각어묵 2장~3장)만으로도 나트륨을 한 끼 적정 섭취량인 667㎎(33%)보다 많이 섭취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조사대상 중 국물용 스프가 포함된 4개 제품의 스프 1개(1회 분량)당 나트륨 함량은 평균 1944㎎으로 라면스프와 유사한 수준이었습니다.
소비자원은 "해당 제품들의 경우, 어묵 100g과 국물을 같이 먹으면 2324㎎~3704㎎(116%~185%)의 나트륨을 섭취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안전성 시험에서는 전 제품이 관련 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식품보존료 및 위생 안전성 시험 결과, 모든 제품의 보존료(소브산) 및 중금속 4종(납·카드뮴·비소·수은)은 관련 기준에 적합했습니다. 이물 및 병원성 미생물 2종(장출혈성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도 검출되지 않았습니다.
다만 일부 제품은 알레르기 유발물질 등 표시에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제품 표시실태 조사 결과, `100사각어묵'에서 표시하지 않은 알레르기 유발물질인 고등어 유전자가 검출돼 관련 내용의 표시가 필요했습니다.
'실속모듬어묵'은 부패·변질되기 쉬운 식품의 안전한 섭취를 위해 개봉 후 보관 및 섭취에 대한 주의문구 표시가 없어 자율 개선하도록 권고했습니다.
소비자원은 "소비자 설문조사 결과 어묵을 주로 간장, 고추장으로 조리해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나 어묵을 조리할 때 나트륨 함량을 고려해 장류 사용량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며 "어묵을 끓는 물에 30초 데치면 1일 영양성분 기준치의 10%에 해당하는 나트륨양을 줄일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