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신공항 백지화공동행동 긴급 기자회견
새만금신공항 조류 충돌 위험도, 무안공항의 610배

[뉴스클레임]
오는 2029년까지 건설예정인 새만금신공항의 조류 충돌 위험도가 최근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가 발생한 무안공항보다 610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새만금신공항 백지화공동행동(이하 공동행동)은 21일 오전 국토교통부 북문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참사를 불러올 새만금신공항을 당장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공동행동은 "새만금신공항 전략환경영향평가서에 나온 전국 공항 조류충돌 위험도 평가와 새만금신공항 위험도 평가를 비교계산한 결과, 충격적이었다. 새만금신공항은 기존에 운영 중인 국내 모든 공항들뿐만 아니라 신규로 추진되고 있는 가덕도신공항, 제주제2공항, 흑산공항 통틀어 조류충돌 위험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고 밝혔다.
특히 "참사가 발생한 무안공항보다 무려 610배 높았다. 항공기-조류충돌 위험관리 구간인 13km로 확대하면 650배까지 높게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이들은 "국토교통부는 전국 곳곳에 이미 15개의 공항이 운영 중이다. 이 중 11개의 공하이 수요가 없어 만성적자를 누적시키고 있음에도 또 다시 지역마다 10개의 신공항을 추가로 건설하고, 추진을 검토하겠다는 납득할 수 없는 계획을 세워놓고 있다"며 "지금 추진되고 있는 새만금신공항, 가덕도신공항, 제주제2공항, 흑산공항, 백령도공항, 울릉공항 등의 입지는 모두 철새도래지이며 새들의 삶터"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새만금신공항, 당장 멈춰야 한다. 제주항공 무안공항 참사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조류충돌 위험도가 치명적으로 높은 수라갯벌에 새만금신공항을 짓는 행위는 또 다른 참사를 예고하는 것과 마찬가지"라며 "더 이상의 참사는 없어야 한다. 위험천만한 공항건설을 당장 철회해야 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