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예술협의회 등 "실질적인 소통과 협의 보장해야"
문체부에 "국립예술단체 독립성·자율성 보장" 요구

5일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진행된 ‘국립예술단체 통합’ 졸속 추진 문화체육관광부 규탄 기자회견. 사진=공공운수노조 
5일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진행된 ‘국립예술단체 통합’ 졸속 추진 문화체육관광부 규탄 기자회견. 사진=공공운수노조 

[뉴스클레임]

문화예술계가 '국립예술단체 통합' 중단을 요구하며 문화체육관광부에 행정 투명성을 확보할 것을 촉구했다.

공공운수노조 문화예술협의회, 문화연대, 블랙리스트 이후, 한국민예총과 강유정·김재원·민형배·이기헌 국회의원 등은 5일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문화체육관광부는 '국립예술단체 통합' 졸속 추진을 중단하라"고 밝혔다.

앞서 문화체육관광부는 지난달 19일 국립오페라단, 국립합창단,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 국립발레단, 국립현대무용단 등 5개 국립예술단체의 행정을 뒷받침할 수 있도록 올해 상반기 내 '통합 사무처'를 신설하겠다고 발표했다.

문화예술협의회 등은 "각 단체가 최고의 예술성을 추구할 수 있도록 행정 업무의 전문성과 효율성을 지닌, 경영 조직의 지원을 받겠다는 취지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문화체육관광부는 문화예술계와의 논의나 공론화 과정 없이 일방적으로 통합안으로 추진하고 있어 많은 우려와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고 주장했다.

무엇보다 명분 없이 과도하게 밀어붙이고 있는 문화체육관광부의 '졸속 행정'이 가장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각 단체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논의 없이 일방적이고 강제적으로 발표한 통합안은 문화예술계를 향한 문화체육관광부의 관료적이고 권위적인 태도를 보여주고 있는 셈"이라며 "각 단체는 장르별 특성에 맞는 예산 집행과 운영 방식을 갖추고 있는데, 이러한 차이를 무시한 통합은 행정의 효율성을 높이기는커녕 혼선을 초래할 뿐이다"라고 말했다.

지난달 19일 문화체육관광부가 '국립예술단체 공통 행정 업무 수행할 통합 사무처 추진'이라는 자료를 배포하며 장르 간 협업을 통해 더욱 진취적인 예술 활동을 펼칠 수 있을 것이라 주장한 것과 관련해선 "이는 각 단체의 현실과 이해가 부족함을 뜻한다고 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5개 단체는 각기 다른 독창적인 표현 방식을 통해 창조적인 예술 활동을 하고 있는데, 통합은 오히려 각자의 예술적 자율성의 축소와 창작의 제한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복잡하게 얽혀있는 사안을 '통합 사무처'라는 이름으로 추진하고 있는 계획을 지금이라도 철회해야 한다"며 ▲현장 문화예술게와의 공론화 과정 없이 졸속 추진하는 '국립예술단체 통합' 중단 ▲국립예술단체 독립성, 자율성 보장 ▲현장 의견 수렴할 수 있는 공론장 개최 ▲행정 투명성 확보, 정책 결정 과정에서 문화예술계와의 실질적인 소통·협의 보장 등을 요구했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