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후쿠시마 핵 오염수 11차 해양투기 규탄 기자회견
환경운동연합 등 "즉시 해양 투기 중단"

12일 오전 서울 종로구 일본대사관 앞에서 진행된 '후쿠시마 핵 오염수 11차 해양투기 규탄 기자회견'. 사진=환경운동연합
12일 오전 서울 종로구 일본대사관 앞에서 진행된 '후쿠시마 핵 오염수 11차 해양투기 규탄 기자회견'. 사진=환경운동연합

[뉴스클레임]

일본 정부가 14년 전 후쿠시마 핵발전소의 폭발이 일어났던 오늘을 시작으로 17일 간 후쿠시마 핵오염수 11차 해양 투기를 진행한다. 국내 환경단체들은 "후쿠시마 핵참사의 피해가 아직도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반성없이 핵오염수 해양 투기를 진행하는 일본 정부의 무책임함에 분노하지 않을 수 없다"며 해양투기를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환경운동연합, 서울환경연합은 12일 오전 서울 종로구 일본대사관 앞에서 '후쿠시마 핵 오염수 11차 해양투기 규탄 기자회견'을 개최하고 "후쿠시마 핵 사고 14년 반성없이 오염수 해양 투기를 강행하는 일본 정부를 규탄한다"고 밝혔다.

환경운동연합에 따르면 이날 시작된  해양 투기는 일본 정부의 2024년 회계연도에 계획된 7차례 투기 중 마지막에 해당하며, 7800톤이 바다에 버려진다. 

이들 단체는 "일본 정부는 2025년 4월부터 2026년 3월까지 총 7차례에 걸쳐 약 5만4600톤의 오염수 해양투기 계획도 이미 발표해 놓았다. 이 과정에서 삼중수소 약 15조 베크렐이 버려질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지금까지 투기된 삼중수소보다 더 증가된 양이다. 탄소14, 아이오딘129, 테크네튬99 등 반감기가 긴 방사성 물질들도 그대로 버려진다"고 설명했다.

특히 "윤석열 정부는 대일 외교와 국내 핵발전 진흥을 위해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 투기를 용인했다. 나아가 일본 정부의 대변인인듯 오염수 안전성을 홍보하는데 예산을 투입하고, 시민의 생명권, 건강권, 환경권을 지키기 위해 투입해야 하는 안전 예산은 삭감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이들은 "현재 일본 열도는  약 30년 안에 반드시 일아난다는 대지진이 예고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안전이 담보되지 않은 노후핵발전소 재가동을 시작했다. 잘못을 바로잡지 못한 대가가 어떻게 돌아오는 지 일본을 거울삼아 돌아봐야 한다"며 "후쿠시마 핵오염수 해양 투기를 옹호한 윤석열을 파면하고, 오염수 해양 투기를 막아내어 생명과 안전이 기본되는 사회를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발언에 나선 환경운동연합 안재훈 사무부총장은 “윤석열이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 방류에 대해서 한 일이라곤 방류를 해도 별 문제가 없다며 시민들의 반대 목소리를 잠재우기 위한 일만 했을 뿐이다"라며 "오염수 하나만 파도 윤석열을 파면해야 할 이유가 분명하다"고 목소리를 높엿다. 

환경운동연합 최경숙 에너지기후팀장은 "일본 정부는 후쿠시마 핵 발전소 사고로 인한 방사능 피해와 참사는 외면한 채 오로지 사고를 수습하기보단 은폐하기 급급했다"며 "즉시 해양 투기를 중단하고 핵 발전소 사고를 수습하지 못하는 것에 대한 책임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