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한강 생태공원 민간위탁 재검토 촉구 기자회견
"투명한 절차 통해 민간위탁 선정 이뤄져야"

12일 오전 서울시청 정문 앞에서 열린 '한강 생태공원 민간위탁 재검토 촉구 기자회견'. 사진=사회적협동조합 한강
12일 오전 서울시청 정문 앞에서 열린 '한강 생태공원 민간위탁 재검토 촉구 기자회견'. 사진=사회적협동조합 한강

[뉴스클레임]

사회적협동조합 한강 등이 서울시의 '한강 생태공원 프로그램 운영관리 민간위탁' 수탁자 선정 절차에 의문을 제기하고 재검토를 촉구했다.

사회적협동조합 한강, 고덕수변생태공원 수탁기관 생태보전시민모임, 난지수변생태원 수탁기관 (재)녹색미래, 암사생태공원 수탁기관 숲엔휴협동조합, 한강야생탐사센터 (사)물푸레생태교육센터 등은 12일 오전 서울시청 정문 앞에서 '한강 생태공원 민간위탁 재검토 촉구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들 단체는 "생태공원 민간위탁에서 공원관리는 빼고 숲 해설만 남긴 잘못된 위탁 심사를 재검토하고, 생태공원의 시민 공동체들을 쫓아내고 사회적일자리를 몰아내는 민간위탁을 중단하고, 선정업체가 왜 1순위가 됐는지, 선정업체의 발표자료와 심사 결과를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들은 "민간위탁 선정 과정에서 미래한강본부는 강교육과 생태체험 프로그램에 대한 전문성이 없는 심사단으로 숲해설과, 생태공원과 연관성이 떨어지는 내용의 시연으로 심사를 강행했다"고 밝혔다.

특히 "이번 심사에서 지난해 서울시의회에 제출한 '한강생태공원 운영관리 민간위탁 재위탁 동의안'에서 위탁 사무의 범위를 ‘프로그램 운영’과 함께 ‘공원 관리’를 하겠다고 승인을 받고서도 이를 위반했다. 이는 시의회를 기망한 것일뿐더러 서울시의 민간위탁 조례를 따르지 않은 것"이라고 주장했다.

단체들은 "이번에 선정된 업체는 한강 생태공원 운영 관련 경험이 없는, 상근자 3명을 두고 있는 소규모의 ‘숲해설’ 업체다. 또한 선정된 업체는 민간위탁 모집 공고에도 명백히 명시되었던 80% 이상의 고용승계 의무를 이행할 의지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며 "80% 이상의 고용승계 의무에 대한 계획이 없는 것은 엄연한 결격 사항일 뿐만 아니라 명백한 감점 사항"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런 결격 상황에서 업체는 심사 결과가 나오기도 전에 15명의 위탁요원을 미리 뽑아뒀다. 여의도샛강생태공원의 경우, 영등포장애인복지관과 대한노인회, 영등포 50+센터 등에서 파견된 사람들이 사회적 일자리의 일환으로 근무 중이다. 이런 상황에서 생태공원을 위해 함께 노력해주신 분들의 활동의 미래도 불투명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들은 "그동안 위탁운영을 맡아왔던 단체들은 연간 1.5억원에 미치지 않는 위탁 사업비로 5만7000㎥에서 75만8000㎥에 이르는 생태공원의 관리와 프로그램 운영을 위해 힘써왔다"면서 "몇 년 간의 노력이 물거품이 되지 않도록 민간위탁 재검토가 받아들여져 투명하고 적법한 절차를 통해 민간위탁 선정이 이뤄지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