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장애인인권영화제 예산 촉구 긴급 기자회견
서울장애인인권영화제 "서울시 장애인인권영화제 배제 규탄"

[뉴스클레임]
"서울시가 아무리 얄팍한 술수로 장애인인권영화제를 지우려 해도, 우리는 더욱 선명해질 것이다. 우리의 스크린은 꺼지지 않는다."
서울시의 의도적이고 계획적인 장애인인권영화제 배제를 규탄하는 서울장애인인권영화제의 목소리다.
서울장애인인권영화제는 9일 오후 서울시청 정문 앞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서울시는 장애인인권영화제 예산 즉각 보장하라"고 외쳤다.
서울장애인인권영화제에 따르면 서울시는 '2024년 서울특별시 장애인단체활동 및 행사 지원사업'에서 2020년부터 2023년까지 4년간 ‘장애인인권영화제’ 사업의 유일한 후보 단체였던 서울장애인인권영화제를 명확한 사유 없이 탈락시키며 장애인인권영화제를 개최하지 않았다.
이들은 "'2025년 서울특별시 장애인단체활동 및 행사 지원사업'은 기존 지정공모 방식에서 자율 공모로 공모 방식을 변경하고, '장애인인권영화제'라는 사업명을 삭제했다. 의도가 분명한 서울시의 조치 속에서도 서울장애인인권영화제는 성명서를 발표하며 올해도 공모 사업에 응모했지만, 결국 또 한 번 최종 탈락의 결과를 마주했다"고 밝혔다.
이어 "이는 작년부터 이어지는 서울시의 의도적이고 계획적인 인권 퇴행이다. 서울시가 주장하는 ‘약자와의 동행’은 실제로 장애인과 약자에 대한 시혜적 동정으로 점철된 정책일 뿐이다"라며 "'2025년 서울특별시 장애인단체활동 및 행사 지원사업' 최종 선정 결과 속 인권을 다루는 사업은 단 하나도 없다. 이는 서울시가 장애인을 비롯한 사회적 약자들을 시혜와 동정의 대상으로만 여긴다는 명백한 증거"라고 주장했다.
서울장애인인권영화제는 "서울시가 해야 할 일은 장애인인권영화제의 내용에 대해 검열하고 예산을 미지원하며 인권을 지우는 일이 아님을 똑똑히 기억해야 한다"며 "서울시는 이제라도 장애인인권영화제의 지속적 개최를 위한 계획을 수립하고, 영화제 개최를 보장하라"고 촉구했다.
주요기사
- 중대재해 책임 못 묻는 '이태원 참사·강동구 싱크홀'… "개정 필요"
- '장제원 성폭력' 피해자 "가해자 사망해도 혐의 결과 발표돼야"
- [잡채기 칼럼] ‘대선 정국’에도 인상… 슬럼프플레이션
- [오늘 날씨] 제주도 오전까지 한때 비, 경북권 구름 많아… 아침 최저기온 4~13도, 낮 최고 15~22도
- SPC그룹, 아르바이트 대학생 지원 ‘행복한 장학금’ 전달
- 동아제약 ‘판피린’, K-BPI 2년 연속 1위
- 우리은행, 불용 부동산 공개 매각
- 동아에스티, 에티오피아 전문의약품 기부
- 신한은행, 스테이블 코인 기반 한-일 해외송금 실증 실험 참여
- 넷마블 '레이븐2 길드 챔피언십’ 개최
- 미래에셋증권, 홍콩 거래소 ‘HKEX Awards’ 수상
- 엔씨 리니지M, ‘말하는섬&윈다우드’ 최초 월드 공성전 진행
- 미래에셋자산운용, 전체 채권형 펀드 수탁고 50조원 돌파
- 엘지유니참, 한부모 가정 위해 생리대·기저귀 기부
- 롯데웰푸드, '인절미 팥빙수맛 빼빼로' 글로벌 시장 공략
- 웅진씽크빅, 웅진스마트올에 ‘단원평가 센터’ 오픈
- 신세계면세점-영인문학관, 창조적 K-문화예술 협력 MOU 체결
- HDC현대산업개발, 한강 지천 지킴이 릴레이 봉사
